▲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2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실한 소강상태로 접어들면서 16일째 추가적인 발병 확정을 받은 농가가 늘어나지 않고 있다.
추가적인 확산을 막기위한 살처분 및 예방적 살처분을 당한 돼지가 약 30만마리를 넘어섰고, 이북쪽에서 넘어 온 것으로 추정되는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돼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판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1일까지 경기 파주시와 김포시, 연천군 내 발생 농장으로부터 3㎞ 이내 지역과 인천 강화군 전 지역 내 총 94개 농장에서 15만4548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했다고 25일 밝혔다.

농가에서 수매를 신청한 비육돈(5개월 이상 사육해 식용으로 출하 가능한 돼지)은 6만2772마리로, 나머지 15만4154마리가 살처분 대상에 올랐다. 결국 30만8702마리의 사육 돼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을 위해 살처분된다.

야생 멧돼지에서만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는 만큼 정부는 멧돼지 포획에 집중하고 있다. 감염 사례가 나온 지역엔 임시 철조망을 설치하고 경계 지역엔 무료 수렵장을 개장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접경 지역 외에서도 총기를 활용한 사전 포획을 허용했다.

한편 한돈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지난 3일 연천 비무장지대(DMZ)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발견된 이후 20일동안 파주·연천·철원에서 14마리나 감염 사체가 발견됐다"며 "급속히 퍼진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매개체는 남북을 오가는 야생멧돼지인 것이 확실해졌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5월 북한에서 ASF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다양성만 주장, 한돈농가 접경지역의 야생멧돼지 검사 및 개체수 조절요구를 무시해 현재의 국내 ASF 발병을 촉발시켰다”며 “임진강 하류의 지류에 따라 충분히 멧돼지가 넘어올 수 있는 가능성을 감안하지 않고 허송세월한 죄가 크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