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특수식품, 기능성, 간편식, 친환경식품, 수출식품 등 5대 분야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정부가 가정간편식(HMR), 실버푸드, 펫푸드 등 미래 유망 먹거리 산업 키우기에 나선다. 인프라 지원과 규제 혁파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시장 규모와 일자리 수를 두 배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4일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2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식품산업 활력 제고대책'을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맞춤형·특수 식품 ▲기능성 식품 ▲간편식품 ▲친환경 식품 ▲수출 식품을5대 유망식품으로 선정해 인력 양성부터 민간 투자 지원, 제도·규제 개선, 연구개발(R&D) 지원 등을 포함해 전방위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 5대 유망식품 집중육성 계획(농식품부 자료, 뉴시스 그래픽)

정부는 식품산업은 성장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농업, 물류, 외식 등 연관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인구구조의 변화, 건강과 편의성 중시 등 새로운 소비 트랜드와 K-FOOD 등 해외 인지도 향상 등으로 식품산업 성장 여건이 성숙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이 영세한데다 연구개발(R&D) 저조 등으로 기술 경쟁력이 취약해 신시장 진출과 해외시장 개척에 한계를 맞고 있다.

우선 연평균 6.9%씩 성장하고 있는 메디푸드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의료용도등식품’을 독립된 식품군으로 상향해 ‘표준형’, ‘맞춤형’ 식품으로 개편하고 질환별 식단 제공이 가능하도록 ‘식사관리용 식단’제품 유형 신설할 계획이다.

실버푸드(고령친화식품)는 인증제(KS) 도입과 우수식품 지정, 제품 개발 R&D 지원으로 시장을 활성화 한다. 대체식품 개발을 위해 중장기 연구개발(R&D) 지원 로드맵을 마련하고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해 세액공제 확대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수입산 비중이 높은 펫푸드는 국산 제품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내년까지 펫푸드의 독자적 원료·가공·표시기준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펫푸드 관리법(가칭)’ 제정을 추진해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갖출 계획이다.

또한 기능성제품의 표시제 도입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판매 허용 등 규제개선으로 시장 확대를 돕는다. 일반식품에도 기능성이 입증될 경우 표장재 등에 해당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친환경식품 육성을 위해서는 친환경 인증제도 개선, 표시기준 완화 등 친환경 식품 외연 확대를 추진하고, 신북방·신남방, UN조달시장 등 수출시장 다변화, 온·오프라인 판로 지원 등을 통해 식품수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1인가구의 증가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연 11.8% 씩 성장하고 있는 간편식 시장은 고급화를 위해 식품 유형을 새로 발굴하고 경쟁력이 있는 제품에 대한 국제 규격 마련도 추진할 계획이다. 농어업·중소기업 상생 발전을 위해 생산자단체 계약재배 활성화, 지역농특산물 공급체계 개선도 추진한다. 포장재·용기의 친환경 소재화도 병행한다.

친환경식품은 그동안 농산물 위주의 제도운영으로 시장 활성화가 미흡한 상황이다. 정부는 무농약원료 가공식품 인증을 시행하고, '유기' 표시기준을 원료함량 95% 이상에서 70% 이상으로 완화해 친환경 가공식품 시장을 확대한다.

수출 식품 분야에서는 일본·중국·미국 등 기존에 한정된 시장에서 벗어나 러시아·몽골 등 신북방, 동남아시아 등 신남방 지역에 대한 물류센터 확충 등 시장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류 문화축제 케이콘(K-CON)과 연계한 해외 홍보 행사를 확대하고 해외 온라인몰에 한국식품 전용관을 운영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한류 5대 유망 식품 산업을 육성해 2030년까지 산업 규모를 24조9000억 원으로 2배로 키우겠다"며 "일자리도 작년 5만1000개에서 2030년 11만2000개를 창출하는 등 식품 산업 활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5대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를 지난해 12조4400억원에서 2022년 16조9600억원, 2030년 24조850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일자리 수도 지난해 5만1000개에서 2022년 7만4700개, 2030년 11만5800개로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