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폐형 건축물에서 완전밀폐와 인공광원을 이용해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공장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지난해에 이어 올해 가장 농정에 화두가 되는 것은 WTO 개도국 지위 포기와 공익형 직불제, 그리고 스마트팜이다. 사실 안정적이고 자주적인 농업을 위해선 스마트팜의 자리 잡음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국내 스마트팜은 어디까지 왔을까.

우선 스마트팜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스마트팜(Smart Farm)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을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의미한다. 기존의 비닐온실에서 온도와 습도 등을 표시해주는 시스템정도를 추가한 것도 스마트팜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작물생육정보와 환경정보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작물 또는 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적기에 처방하여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 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제고가 가능한 농업이다.
한편 지난해 농업부분을 살펴보면 '풍년'임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은 우는 현실이 빚어졌다. 한파도 없고 홍수가 오지도 않았다. 태풍이 와 일부 작물의 경우 피해를 보긴 했지만 지난해 기상환경이 평년 이상으로 좋아 수요대비 생산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농산품의 경우 소비재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식자재인 만큼 소비가 일정할 수밖에 없다. 생산면적 대비 생산량이 크게 웃도는 풍년이 오면 가격이 폭락해 제값을 받지 못한다. 농사를 지어도 손해를 보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반대로 기상환경이 좋지 않았던 지난 2018년의 경우 농산물 가격이 폭등했다. 2018년 1~2월초 대한파로 인해 봄 철 수확을 맺을 작물들은 대부분 한파 피해를 봤다. 여름에는 1994년 이후 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

2018년과 2019년은 1년 차이지만 기상환경이라는 변수에 큰 차이점을 보인다. 날씨가 좋아도 고민, 나빠도 고민인 농업인 셈이다.

▲ 지난해 11월 4일 오전 경남 함양군의 한 양파 논에서 양파 모종을 옮겨 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함양군청 김용만 주무관 제공)

또한 한해 농사를 망쳤다면 작물을 바꾸는 농민들도 많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난해 양파와 마늘은 생산면적대비 생산량이 급등해 가격이 폭락하는 사태를 겪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년산 마늘, 양파 예상재배면적 결과'에 따르면 올해 마늘 예상재배면적은 2만4604~2만6558㏊(헥타르)로 1년 전(2만7689㏊)에 비해 4.1~11.1%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됐다.

양파의 경우 1만6209~1만8318㏊로 전년(2만1777㏊) 대비 15.9~25.6%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마늘과 양파 예상재배면적 감소는 모두 올해 이어진 가격 하락 탓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1~11월 평균 양파 도매가격은 20㎏당 1만1872원으로 지난해 연간 평균 1만6387원에 비해 27.5% 가량 하락했다.

이처럼 국내 농업이 대부분 노지에서 작물을 키우는 노지재배 형식을 따르기 때문에 자연이라는 큰 변수에 따르고 있다. 국내 농업이 달라지지 않은 것도 큰 문제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하지 못해 지원금이 없으면 농업을 유지할 수 없는 수준이다.

▲ 스마트팜 혁신밸리 예상 조감도 (농식품부 제공)

이처럼 스마트팜은 농업의 가장 큰 문제점 때문을 해결하기 위해 대두됐다. 농업은 인간의 노동력이 매우 많이 들고 현대사회에서 농가의 초고령화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기 자본이 매우 많이 든다는 점에서 정부는 유리온실을 목표로 스마트팜 보급에 나서고 있다. 현재 비농업인과 농촌사회를 겪어보지 않았지만 귀농, 귀촌에 생각이 있는 젊은 세대에게 스마트팜 교육생도 육성중이며, 스마트팜 혁신밸리까지 추진중이다.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3세대 스마트팜을 목표로 두고 있다. AI와 로봇으로 완전 자동화를 시전해 무인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림식품 산업의 미래 먹거리가 될 5대 중점 연구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고, 농업 혁신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현재 최고 기술보유국인 미국 대비 80.0% 수준인 농업과학기술을 2024년에는 84.6%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5대 중점 연구분야로 ▲빅데이터·AI·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농업 고도화 ▲농생명 바이오산업 육성 ▲소비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식품 개발·유통 ▲기후변화·재난·질병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생산 ▲농업인·농촌주민·국민 삶의 질에 기여 등을 제시했다.

다만 차세대 농업을 책임질 스마트팜은 갈길이 멀다. 스마트팜 혁신벨리는 당초 예산안보다 규모가 줄어들었고, 진행이 지난해 12월 말 겨우 착공을 이어갔다.

게다가 스마트팜을 육성해 보급할 스마트팜 혁신밸리 교육생들도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계획안에 준비된 세세한 내용들이 사전 공지와 다르다거나, 금액적인 부분에 지원이 다르다는 식이다.

우리나라 농업의 가장 큰 문제는 '취약성'이다. 수급안정이 되지 못해 생산량은 해외 주요국 대비 낮은편인데 불구하고 농업 지원금 수준은 OECD에서 최고 수준이다.

스마트팜은 이러한 변수를 최소로 줄여줄 수 있다. 여름과 겨울의 일조량 차이가 큰 우리나라의 기상환경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여름에는 장마, 겨울에는 한파를 막아줄 수 있다.

차세대 먹거리와 농업 발전에는 반드시 4차산업 혁명을 통한 스마트팜 보급이 이뤄져야만 한다. 국민들에게는 수급안정으로 물가안정을, 농민들에게는 수입안정과 수출활로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크게보면 농가의 변화지만 크게 보면 산업의 변화인 셈이다.

농식품부 김현수 장관은 지난 1일 신년사에서 “혁신밸리는 미래 농업을 이끌 청년을 키우는 핵심 시설로 이들이 열정적으로 도전할 운동장이 되도록 할 것”이라며 “노지·축산까지 스마트 농업을 확산하고 해외 시장에 도전하는 스마트팜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