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모니터링과 의료기관 간 협진 가능한 비대면 의료

투데이코리아=김성민 기자 | 정부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이하, ICT)을 기반으로 입원환자 실시간 모니터링과 의료기관 간 협진이 가능한 '스마트병원' 구축 등 비대면 의료 제도화 추진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디지털 뉴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로 올해 추경부터 △2022년까지 총 23조4000억 원(국비 18조6000억 원) △2025년까지 58조2000억 원(국비 44조8000억 원)을 투자한다. 이에 따라 2022년까지 39만개, 2025년까지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코로나19 장기화 등에 대비하여 핵심과제로 감염병 대응 솔루션에 집중하고 향후 25년까지 매년 스마트병원 3개를 구축하여 총 18개 구축할 계획이다.
 
▲ 전주 예수병원은 5월 25일 예수병원 스마트 병원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사진=전주 예수병원 제공
▲ 전주 예수병원은 5월 25일 예수병원 스마트 병원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사진=전주 예수병원 제공
우선 감염병 위협에서 의료진-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의료편의 제고를 위해 디지털 기반 스마트 의료 인프라를 구축해 나간다.
 
환자안전 강화, 진단·치료 질 제고, 의료진 업무부담 경감 등 보건의료정책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주요과제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이를 실증하고 효과를 검증한 후 의료기관에 도입·확산할 예정이다.
 
또 코로나19 장기화 및 호흡기감염(독감 등) 동시 유행을 대비해 호흡기·발열 환자가 안전하게 진료 받고 의료기관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호흡기전담클리닉을 1000개소 설치할 계획이다.
 
동선분리, 음압장비 등 감염 예방 시설과 장비를 갖추도록 개소당 1억 원을 지원한다. 2020년 3차 추경으로 500개소, 2021년 500개소 설치할 예정이다. 전화상담 등을 통해 증상을 사전 확인하고, 예약제를 적용하여 환자 간 교차 감염을 최소화하게 된다.
 
간질환, 폐암, 당뇨 등 12개 질환별 인공지능 정밀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닥터앤서 2.0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감염병 대응, 국민 편의 제고를 위해 의료계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비대면 의료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환자가 집에서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주기적인 점검 및 관리 등을 제공하는 ‘재택의료 건강보험 수가 시범사업’도 지속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전 세계적인 거대한 흐름 속에서 코로나 이후를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도록 조기에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