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가스터빈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30년 간 15기의 단계별 실증 계획 추진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7일 경남 창원시 창원 그린뉴딜 추진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방문해 가스터빈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7일 경남 창원시 창원 그린뉴딜 추진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방문해 가스터빈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정민 기자 | 정부가 재생에너지 기반 친환경 정책의 발판이 될 '가스터빈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놨다. 이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터빈 설비 경쟁력을 강화하고 가스터빈산업 글로벌 4강 도약을 목표로 최대 15기 규모 가스터빈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약 4조4000억원의 국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합정동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가스터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산학연 관계자들과 한전, 중부·동서발전 사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가 주목한 가스터빈과 핵심부품은 현재 미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 수출에 96% 가량 의존하고 있다. 최근 추진되고 있는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LNG발전 및 국산화가 주요 쟁점인 만큼, 정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석탄발전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등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확보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가스터빈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향후 30년 간 최대 15기의 단계별 실증을 통한 '표준LNG 복합모델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실증사업은 발전사가 자율적으로 노후 석탄발전을 LNG발전 전환을 유도하거나 2030년에 수명이 다한 후 노후 LNG발전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4조4000억원 규모의 국내 가스터빈 시장이 창출될 것이라는게 정부의 설명이다.

4대 추진전략으로는 △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한 초기 일감창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 개발 고도화 △고부가가치 핵심 소재부품경쟁력 제고 △지역 산업생태계 인프라 구축 등이 마련됐다.
 
▲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제작 공장. 사진제공=두산중공업
▲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제작 공장. 사진제공=두산중공업
먼저 가스터빈의 발전효율을 60%에서 65%로 높이기 위해 기존 모델을 기반으로 내년부터 후속 모델 효율 향상 연구개발(R&D)를 추진한다. 2040년까지 300MW급 수소전소 가스터빈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즉시 발전소의 LNG 발전기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수소 혼소와 전소가 가능한 연소기 개발에 돌입하기로 했다. 수소혼소 대형 가스터빈 복합화력 실증 추진도 검토할 계획이다. 세부 계획으로는 내년 상반기 '수소 가스터빈 개발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가스터빈 핵심 고온부품인 블레이드, 베인, 대형디스크 등 3대 분야의 기술 확보를 위해 발전사와 중소·중견 부품제조사 간 공동 R&D 및 사업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복합효율 '65%+α' 수준의 초고효율급 가스터빈 개발 R&D를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추진키로 했다. 80MW급 중형 가스터빈 R&D도 함께 병행해 재생에너지의 높은 변동성에 대응한다.

아울러 정부는 부산·울산·경남에 미래형 가스터빈 개발을 위한 R&D 및 가스터빈 관련 중소기업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국내 가스터빈 분야 341개 업체의 71%가 동남권에 몰려 있는 것을 고려했다. 우선 내년부터 경남 창원을 중심으로 '가스터빈 시험연구발전소'를 추진하고, 중소기업의 기술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지원사업단' 운영을 시작한다.

기술·정보교류 확대를 위해서는 내년부터 국내 산학연 전문기관간 포럼을 개최하고, 산학 연계형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에너지융합대학원' 지정을 추진한다.

성 장관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가스터빈 기술자립화는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며 "산·학·연 간 연대와 협력 아래 국내 가스터빈산업 생태계를 잘 구축하면 중장기적 수소발전으로의 에너지 전환과 2050 탄소중립 사회·경제로 나아가는 튼튼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은 커다란 도전이지만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며 "모두 능동적으로 준비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