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6월 CATL 시장 점유율 34.8%…세계 1위 수성
2위 LG엔솔 14.4% 그쳐…SK온 6.5%·삼성SDI 4.9%
K-배터리 3사 점유율 25.8%…전년 동기 比 9.1%p↓
중국계 배터리 업체 점유율 56.4%…韓 두배 웃돌아

▲ LG에너지솔루션 오창1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 LG에너지솔루션 오창1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투데이코리아=오창영 기자 | 올해 상반기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 3개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중국계 배터리 업체의 공세에 밀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세계 80개국에 등록된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203.4GWh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15.1GWh 대비 76.8% 늘어난 수치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중국계 배터리 업체들의 약진이 지목된다.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1위는 중국의 CATL이 차지했다. 올 1~6월 CATL의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70.9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9GWh보다 115.6%나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가파른 성장세를 바탕으로 CATL의 점유율 또한 지난해 28.6%에서 올해 34.8%로 6.2%p나 증가했다.

지난해 1~6월 7.9GWh에서 올해 같은 기간 24.0GWh로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을 3배가량 끌어 올린 BYD는 11.8%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글로벌 3위로 도약했다.

K-배터리 3사도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중국계 배터리 업체들에 밀려 시장 점유율이 대체로 하락했다.

올 상반기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29.2GWh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7.3GWh와 비교해 6.9%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미한 성장률로 인해 LG엔솔의 점유율은 지난해 23.8%에서 올해 14.4%로 9.4%p나 떨어졌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선두 자리를 놓고 열띤 경쟁을 벌여 온 LG엔솔과 CATL의 점유율은 더욱 벌어지게 됐다. 지난해 LG엔솔과 CATL의 점유율 격차는 4.8%p에 그쳤으나 올해는 20.4%p로, CATL을 따라잡으려는 LG엔솔의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 SK온이 생산하는 배터리. 사진=SK이노베이션
▲ SK온이 생산하는 배터리. 사진=SK이노베이션

SK온의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지난해 1~6월 6.2GWh 대비 114.4% 증가한 13.2GWh를 기록했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과 기아 EV6 등 주요 전기차의 판매 증가가 SK온의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성장에 힘입어 SK온은 배터리 시장 점유율 6.5%를 확보하며 글로벌 5위에 안착했다. 특히 K-배터리 3사 중 유일하게 점유율을 늘렸다.

삼성SDI의 올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10.0GWh로 집계됐다. 이는 피아트 500, 아우디 E-Tron, BMW iX 등의 판매 호조로 지난해 같은 기간 6.6GWh보다 50.6% 늘어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SDI의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5.8%에서 올해 4.9%로 0.9%p 떨어졌다. 중국계 배터리 업체 CALB의 점유율 4.1%와 비교해 근소한 차이로 우위를 점하면서 전 세계 6위 자리를 겨우 지켰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K-배터리가 중국과의 경쟁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올 1~6월 글로벌 배터리 시장 톱10 가운데 K-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25.8%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4.9% 대비 9.1%p 하락한 수치다.

반면 CATL, BYD, CALB, Guoxuan, Sunwoda, SVOLT 등 중국계 배터리 업체들의 올 상반기 합산 점유율은 56.4%에 달했다. K-배터리 점유율을 두배 넘게 상회하는 것이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K-배터리 3사가 북미와 유럽 지역에 합작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에서의 전기차 회의론과 각국의 제한적 보조금 정책 등 위협 요소가 증가하고 있다”며 “급성장하는 중국계 배터리 업체에 대응하기 위해선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 3개사의 유동적 전략 수립이 절실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