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송두근 DS 환경안전센터장(부사장)이 DS 부문 친환경경영 혁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 삼성전자 송두근 DS 환경안전센터장(부사장)이 DS 부문 친환경경영 혁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기업에서 쓰는 전기를 오는 2050년까지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만 100% 충당하겠다는 약속으로 사용되는 RE100(Renewable Energy 100%)과 관련해 재계에서 연이어 가입을 선언하면서 따뜻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도 최근 기후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하고 2050년 탄소중립 달성하겠다고 밝히며 ‘RE100’을 ‘신환경경영전략’의 주요과제로 발표해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발표한 ‘신환경경영전략’에 따르면 휴대폰과 가전사업을 하는 세트부문(DX) 사업의 RE100 달성 시점은 2027년으로 못 박았다.
 
또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직접배출을 줄이기 위해 혁신기술을 적용한 탄소 배출 저감시설에 집중 투자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공정가스와 LNG 등 온실가스의 배출을 제로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폰과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PC, 모니터 등 7대 전자 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소비량을 2019년 동일 스펙 모델 대비 평균 30% 개선하고, 전 세계 서버에 삼성전자가 개발하는 최신 저전력 SSD 및 DDR5 등으로 교체할 경우 그 자체로 전력 소모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데이터센터 발열을 식히기 위한 전력도 절약하도록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이러한 발표의 배경에는 이건희 전 회장의 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회장은 지난 1992년 “공해 없는 기업, 인류에 해가 되지 않는 기업이 돼야 한다”라며 삼성 환경 선언을 한 바 있다. 이를 이어 이재용 부회장도 30년 만에 ‘친환경 경영체재’를 선언하며 RE100 가입으로 이어졌다.

이뿐만 아니라 SK와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등 다수의 국내 기업들도 RE100 가입을 선언한 상황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해 사업장에 태양광 패널 등을 설치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 ‘직접 재생에너지 생산’,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자로부터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거래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 등을 통해 RE100을 달성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SK그룹을 이끌고 있는 최태원 회장도 재계 내 ‘ESG 전도사’라고 불릴 만큼 ESG에 대한 관심이 많은 만큼, 최 회장의 의지를 이어 SK그룹은 2020년 국내 최초로 RE100 가입을 선언했다.
 
현재는 SK(주), SK텔레콤, SK하이닉스, SKC, SK실트론, SK머터리얼즈, SK브로드밴드, SK아이테크놀로지 등 총 8개 계열사가 참여한 상태이며, 친환경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수펙스추구협의회에 환경사업위원회를 신설하는 등의 탄소 절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 최 회장의 장남 최인근씨가 전략기획팀으로 근무 중인 SK E&S가 약 3GW 이상의 국내외 재생에너지 사업을 운영·개발 중에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오는 2030년까지 모든 사업장 사용 전력의 33%를 재생 전력으로 조달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상태다.

이러한 재계 전반에서 부는 RE100 선언 바람에 일각에서는 대한민국 정부도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된다는 목소리도 함께 일고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총 발전량 577TWh 중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TWh로 전체 발전량의 7.5%에 그친 상황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0%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여기에 최근 3년간 추가된 풍력발전기는 0.4GW에 불과한 수준이고,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받은 유럽 기업은 전체 해상 풍력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태양전지를 만들던 국내 기업은 중국에 밀려 사업을 접었고, 국내에 하나뿐이던 소재 기업은 아예 파산하는 등 암울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윤석열 정부가 ‘새 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을 원전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늘리는 원전산업 부흥에 방점이 아니라 재생에너지를 2040년까지 30~35%로 확대 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RE100 주관 단체인 더클라이밋그룹이 한국을 RE100을 시행하기에 가장 힘든 시장 1위로 꼽은 것을 근거로 입지 규제에 막혀 있는 재생에너지를 빨리 늘리는 것에 집중해야 된다고 입 모아 이야기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하며,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와 재생에너지 구매를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확대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국내에 일부 철강제조사들이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호주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 생산거점을 옮길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기간사업이 이전하는 것은 경제 안보 측면에서도 좋지 않다는 견해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결국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RE100이 뭐냐”라고 되묻던 뼈아픈 과거를 지나, 다시 경제 안보 측면에서 다시 에너지 정책을 재정비해야 될 시점이 온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