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투데이코리아=윤주혜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7월 13일에 이어 빅스텝를 단행한 가운데, 이창용 총재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12일 금통위 본회의 직후 가진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라며 “내년 성장률이 당초 전망(2.1%)보다 낮아지고 물가 상승률이 5~6%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환율 상승 기대가 자본 유출 압력을 높이고 외환시장의 쏠림 현상을 유발하는 등 일부 금융불안 요인을 고려해 정책 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8월 금통위 회의 이후 미 연준의 최종 금리 전망이 상당폭 높아지며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며 “주요 선진국에서 8~10% 수준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국제금융시장에서 강달러 기조가 강화되면서 주요국의 통화가치가 약세를 보였다”며 금리인상에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외환 부분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며 “미 달러화 강세에 엔화·위안화 약세와 무역수지 적자 지속 등으로 환율이 1400원을 상당폭 상회하는 수준까지 상승했고, 외국인 증권투자자금도 9월 중 순유출로 전환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환부분 리스크 증대와 그에 따른 자본유출 확대를 주요 요인으로 봐도 될지를 묻는 질의에 대해선 “꼭 환율 때문은 아니다”면서도 “9월 들어 원화가 급격히 절하된 것이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이 추후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당행이 어떤 조치를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미국의 긴축 정책이 어느 속도로 어떻게 갈지가 국제금융시장을 흔들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특히 이자율 상승이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을 가중 시킬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 가격 자산에 미치는 영향 등을 큰 틀에서 보면 이자율 인상이 시차를 갖고 물가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계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소비자물가 및 가계부채 등에 미칠 충격에 대해 “지난 8월부터 지금까지 2.5%포인트를 올리면 내년 상반기까지 물가 상승률을 약 1% 정도 낮추고,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0.1% 전후로 낮출 것으로 본다”며 “가계부채 성장 속도는 1% 정도 둔화시킬 것”이라고 재차 설명했다.

다만 11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금통위원들 간 다양한 견해가 있기 때문에 미 연준의 11월 FOMC 회의와 국제에너지 가격 움직임 등 대외 여건 변화 등을 점검하며 결정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이창용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 “금리가 올라가면 다중채무자·저신용자의 고통이 굉장히 커진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물가 오름세를 잡지 않으면 실질 소득이 더 감소된다”라며 “당행은 취약계층을 위해 고정형 대출 금리를 운영하고 있고, 금융위·금감원에서는 새출발기금을 통해 신용불량자에 대한 지원하고 있다”고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