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자료사진 
▲ 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윤주혜 기자 |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됐음에도 불구하고, 은행 점포 영업시간 정상화가 진척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18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020년 2월 28일 금융업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일환으로 일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점포 영업시간을 기존 오전 9시~오후 4시에서 오전 9시 30분~오후 3시 30분으로 1시간 단축한 바 있다.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대부분의 은행 점포들의 영업시간이 단축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거리두기 시행 이후 국내 17개 시중은행과 79개 저축은행 중 81곳이 점포 영업시간을 단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 은행권 종사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요즘은 금융권 디지털화로 인해 직접 영업점을 찾는 고객이 줄고 있다”며 “사측 입장에서도 수익성 측면에서 영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더 이득이다”라며 이같은 조치를 옹호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난 4월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권이 별다른 명분 없이 영업시간 정상화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영업시간을 단축했던 81개 점포 중 83%에 달하는 67곳의 점포가 여전히 단축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은행권 노사 어느 쪽도 영업시간 정상화에 대해 별다른 해결방안을 제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은행권 노조는 사측과 임금·단체협상을 진행하며, 정부의 마스크 착용 해제 전까지 영업시간 1시간 단축 방침을 진행한 후, 올해 산별교섭을 통해 정상화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금융노조는 지난 16일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1차 총파업을 진행하며, 주 36시간 근무와 주 4.5일제 시행 등 기존보다 노동시간을 더 줄일 것을 요구했다. 
 
이후 지난 10월 4일 진행된 6차 대대표교섭에서는 영업시간 정상화와 관련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는 입장만을 되풀이 하고 있다.

해당 TF는 노조 위원장 선거 등의 내부 사정 등으로 여전히 구성되지 않은 상태다.

정치권에서도 영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편함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정부는 “노사가 결정해야 하는 사항”이라며 한발 물러난 상황이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8월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여전히 은행들이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소비자들이 은행에서 기본 대기만 한시간이 넘는다는 원성이 자자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영업시간 단축과 지점폐쇄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개인적으로 아쉽지만 영업시간 단축 문제는 노사합의 사항”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노사합의로 할 수 있는 것은 풀고, 은행들 나름대로 소비자보호에 불편없도록 여러 보완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며 “또 추가로 더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은행권 영업시간 단축에 이어 최근 영업점 감축 현상까지 증가하자, 금융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고조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이후 국내 은행 영업점은 2017년 340개, 2018년 74개, 2019년 94개, 2020년 216개, 2021년 209개, 2022년 8월까지 179개로, 총 1112점이 사라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8일 발표한 보고서 ‘은행산업 환경변화와 전망’에서 “비대면 거래의 확대와 비용절감을 위해 (은행이) 영업점을 축소하고 있으나, 기존 점포의 폐쇄보다는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활용해 고객 접점의 확대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