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12월 30일 저녁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유럽중앙은행(ECB) 청사에 불빛이 켜져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 작년 12월 30일 저녁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유럽중앙은행(ECB) 청사에 불빛이 켜져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윤주혜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유로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유럽중앙은행(ECB)에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줄일 것을 주문한 가운데, 다음달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ECB의 내부 양분화 추세가 더욱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2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알바로 페레이라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 대행이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을 것이고 ECB는 더욱 강하게 행동해야만 할 것”이라며 “많은 국가에서 실질 임금이 떨어지며 구매력을 끌어내리고 있다. 현재 정책의 최우선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되어야만 한다”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독일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에너지 가격 하락 등의 유럽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로 인해, 12월 ECB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의견을 전면 반박하는 내용이다.

앞서 독일의 전월 대비 10월 PPI는 4.2% 하락하며, 2020년 5월 이후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다만 10월 에너지 가격도 지난달 대비 10.4% 하락했으며, 전체 소비자 대상 10월 전기 가격은 9월보다 16.9%, 천연가스는 9% 하락했다.
 
그러나 WSJ에 따르면, OECD는 이같은 에너지 가격 하락세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의한 유럽의 천연 가스 공급 부족이 발생해, 고집적인 인플레이션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페레이라 대행은 “달러 대비 유로를 지지하기 위해서도 ECB가 기준금리를 현재 1.5%에서 내년 여름 4~4.25%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시사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최종 기준금리 3%)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아울러 같은날 로버트 홀즈만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도 ECB가 기준금리 인상폭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해, 12월 ECB 통화정책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홀즈만 총재는 “ECB가 다음달 15일 회의에서 금리를 3연속으로 0.75%포인트 올리는 것을 지지한다”며 “핵심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다는 어떤 신호도 볼수 없다. 깊은 경기 하락보다는 약한 침체 또는 제로에 가까운 성장을 예상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ECB 내부에서도 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매파 측 주장과 침체 우려로 인해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춰야 한다는 비둘기파의 주장이 충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필립 레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가 이미 취한 조치를 더할수록 우리가 해야만 할 일은 줄어들 수 있다”며 금리를 0.75%포인트로 높게 인상할 이유가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보스트잔 바셀 슬로베니아 중앙은행 총재는 “통화정책이 단순히 중립적인 영역이 아니라 제약적 영역으로 갈 때까지 금리를 계속 올려야 한다”고 주장해 양측의 대립은 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치솟던 독일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마침내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겨울철을 진입하면서 천연가스와 난방가격 불확실성 리스크는 남아있지만 일단 독일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10월 독일 생산자물가 급락을 고려하면 10월 혹은 11월 독일과 유로존 소비자물가 역시 정점일 공산이 높다”며 “유럽중앙은행 금리인상 폭이 0.75%포인트에서 0.50%포인트 인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ECB는 지난 7월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한 후, 9월과 10월 연이어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을 밟은 바 있다.

ECB 기준금리는 2.00%로, 미국(4.00%)과 2.0%, 한국(3.00%)과 1.0%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