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인성병원,수십억 리베이트 충격
A,B,J등 20여개 제약사 검찰수사,핵폭탄급 후폭풍 파문 일 듯 초긴장...
| ▲춘천지역에서 대를 이어 가업을 이어 온 병원 원장 김 모씨가 운영하고 있는 인성종합병원은 지난 2000년 부터 지금까지 10여년간 무려 수십억원에 이르는 리베이트를 제약사들로 부터 받아 온 것으로 확인됐다. | ||
그런데 이같은 발표가 나간지 하루만에 강원도 춘천의 인성종합병원이 제약사들로부터 수십억원의 리베이트를 상납받은 사실이 들어나면서 제약업계는 온통 벌집 쑤셔놓은듯 난리를 겪으며 불똥이 어디로 튈지 안절부절하고 정보수집에 주력하는등 충격에 휩싸여 있다.
그동안 제약업계의 자정노력으로 주춤하던 제약사 리베이트 사건이 정부의 종합 발표가 있은직후 인성병원서 대형사건으로 불거지면서 리베이트를 상납 했던 제약사들이 초 긴장 상태에 들어 갔다.
전국의사총연합회는 국내 유수 제약사 한 곳을 불법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하는 등 그동안 비리로 얼룩져진 제약업계나 의사. 제약사등 관계자들이 자발적으로 벌여온 자정노력은 극히 일부이며 그 또 한 생색 내기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과 제약사들의 리베이트 관행이 아직 까지도 고쳐지지않고 있으며 오히려 수법이 교묘해지고 단위가 커지는등 관행이 서울.부산등 대도시 뿐 만이 아닌 전국에 걸쳐 이루어 지고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물의를 빗고있다.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대를 이어 가업으로 이어 온 이병원 원장 김 모씨가 운영하고 있는 인성종합병원은 지난 2000년 부터 지금까지 10 년여간 무려 수십억원에 이르는 리베이트를 제약사들로 부터 받아 온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이 병원에 수십억원대에 이르는 리베이트를 제공한 곳은 무려 20여개의 A,B,D,C,J,H,M,m,d 제약사로 알려져 제약업계는 또다시 충격에 휩싸이면서 커다란 파문이 일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의 진실은 인성병원에서 각종 업무에 대해 수년간 깊이 간여해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모씨의 제보로 알려 지게 되었다.
제보자 김모 씨에 따르면 인성병원의 돈 받는 방법은 그동안 "철저하게 개인계좌"를 이용했다"고 말하고 이돈을 사채놀이와 부동산투자로 불여 나갔다고 김모 씨는 밝혔다.
또 올해 들어 이러한 첩보를 입수한 춘천지방검찰청에서는 강도높은 조사를 진행중 이었던 것으로 알려 졌으나 이들의 교묘한 수법으로 수사에 애를 먹고 있는것으로 알려 졌고 인성 병원은 조사 당시에 20여개의 개인계좌로 나누어 리베이트 자금을 보관하는 방법으로 그동안 조사를 피해 왔던 것으로 본지 확인결과 최종 확인됐다.
이어진 제보자 김모씨는 또다른 리베이트 제공 방법으로서 제약사들은 김모 병원장의 요구에 의해 "병원내의 필요한 각종 의료기기를 구매 해주는 것"이라며 그동안 병원측의 이같은 부도덕한 행태를 강하게 비난 했다. 제보자는 또 김원장의 개인계좌를 추적하고 수표등을 조회하면 어느 제약사가 어덯게 얼마를 입금 시켰는지 정확하게 알수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같은 불법 리베이트로 조성된 자금을 김모병원장의 사채놀이로 이용되어져 불어 났으며, 현재는 그 금액이 무려 160여억 원으로 불려 진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한편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는 국내외 제약사 7곳이 2000억원대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이들 업체에 약 2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었다.
공정위는 또 총 10조원을 웃도는 제약시장의 리베이트 규모가 2조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한 바 있으며 또 복지부는 올해 초 금융비용을 초과한 백마진을 리베이트로 간주해 처벌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대한약사회와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최근 개최된 의료법·약사법·의료기기법 시행규칙 개정안 마련 TF 2차 회의에서 금융비용 관련 업계 단일안을 복지부에 제시 했던 것으로 알려 졌으며 제출된 안에서 대한약사회는 " 1개월 내 약품대금 결제 시 4.5%, 2개월 3%, 3개월 1.5%의 금융비용을 제안했으며,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1개월 3%, 2개월 2%, 3개월 1% 방안을 복지부에 전달했었다.
이에 복지부는 오는 15일로 예정된 TF 3차 회의 등 차후 업계와 본격 논의해 금융비용 상한선 등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으로 특히 복지부는 오는 11월 28일부터 3개법 시행규칙이 발효되면 규정된 금융비용을 초과한 백마진을 리베이트로 간주해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