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심해 가스전 개발 ‘대왕고래’는 잠들까, 다시 헤엄칠까

2025-06-04     김시온 기자
▲ 미 텍사스주 골드스미스 외곽에서 작동 중인 원유시추기, 펌프잭 뒤로 해가 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윤석열 정부의 핵심 에너지 사업 중 하나였던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이른바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향방이 새 국면을 맞았다. 

4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면서 ‘대왕고래’로 불린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은 존속과 폐기의 갈림길에 섰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동해 6-1광구 인근 심해 지역에 묻힌 천연가스를 개발하겠다는 초대형 자원개발 구상으로,  한국석유공사가 주도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1차 탐사시추에 나섰지만 기대했던 상업성 있는 가스층은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석유공사는 시추 지역을 다른 유망구조로 옮겨 2차 탐사에 대비하고 있으며, 국제 오일메이저를 대상으로 한 지분 투자 유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사업 구조는 석유공사가 과반 지분을 유지하되, 최소 49%까지 외국 자본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입찰은 6월 말 마감되고, 7월 중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전임 윤석열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 “에너지 안보를 위한 전략 자산”이라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냈지만, 당시 야당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을 상대로 한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지난해 말 국회는 관련 예산 497억 원 전액을 삭감하며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그러나 여소야대 구조 속에서 여당이 된 민주당의 셈법은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동해 심해 가스전의 국제 입찰이 막바지에 접어든 데다,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들이 해양 자원 확보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자원개발 업계 일각에서는 새 정부가 해당 프로젝트를 ‘전 정부의 유산’으로 규정하기보다는 실용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과정에서 탈원전·친원전 이분법을 넘어선 합리적 ‘에너지 믹스’ 전략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