輿 “쌍방울 북한 노동자 고용 등 대북 송금 진실 밝힐 자료 발견”···野 “정치적 의도” 반발
2025-09-02 김유진 기자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이 이러한 내용의 특별 감사 중간보고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쌍방울 대북 송금 관련해 검찰이 국가정보원에 자료 제출을 요청하자 국정원은 북한 업무 부서에서 생산된 자료에 한정해 제출했다”며 “여타 부서에서 생산된 자료는 검찰에 제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검찰에 제출되지 않은 최근 자료에서 쌍방울 측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정황,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과 안부수 아태평화교류협회장이 대북 사업을 빌미로 주가 조작을 시도 중이라는 첩보 등의 문건이 새로 발견됐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서도 “김규현 전 국정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대면 보고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박지원·서훈 전 국정원장을) 고발하라고 지시했다는 정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 정부 국정원은 박 전 원장이 피살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관련 첩보와 보고서를 삭제하라고 지시했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실제로 박 전 원장이 삭제를 지시하지 않았다는 보고가 대거 나왔다”고 부연했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은 2020년 9월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이던 고(故) 이대준씨가 서해 소연평도 인근 해역에서 실종됐다가 북한군 총격으로 인해 숨진 사건이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자진 월북이라고 판단했으나, 국민의힘 등에서는 정부가 남북관계를 이유로 해당 사건의 사망 경위를 축소 은폐했다고 의심한 바 있다.
아울러 박 의원은 지난해 1월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였던 시절 부산에서 발생한 피습 사건과 관련해 이를 ‘테러 사건’으로 지정하지 말자는 보고서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국정원이 경찰에 습격범 조사 내용 공유를 지속해서 요청했지만 부산 경찰 측에서 접근 자체를 거부했던 사실이 확인됐다”며 “국정원은 테러 혐의점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철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김상민 국정원 법률특보는 습격 사건을 테러로 지정해서 얻을 실익이 없다며 테러 지정을 하지 말 것을 건의하는 보고서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이러한 박 의원의 보고에 국민의힘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박 의원이 얘기한 특별감사 보고에 대해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아주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며 “특별감사의 경우 역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과거 정권을 비난하고 처분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숨어있는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적으로 민감할 수밖에 없는 내용을 최종 결과가 아닌데도 보고했다”며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과 관련된 대북 송금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단정적인 것 같은 분위기로 말한 부분은 상당히 우려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전달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