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고위공직자 145명 재산공개···대통령실 참모 평균 22억원

2025-09-26     이기봉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기봉 기자 | 이재명 정부에서 많은 고위 공직자들이 새로 임명된 가운데, 대통령실 참모들의 평균 재산이 22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9월 고위공직자 수시 재산등록 사항’을 공개했다.
 
이번 공개 대상은 올해 6월 2일부터 7월 1일까지 취임·승진·퇴임 등으로 신분에 변동이 있는 고위 공직자 145명이다.

발표된 자료에서 대통령실 참모들의 평균 재산은 22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 대상자 중 가장 자산이 많은 사람은 김상호 대통령비서실 보도지원비서관이었다.
 
동아일보 기자 출신인 김 비서관은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본인과 배우자 소유의 주택, 광진구 아파트, 예금, 증권, 가상자산 등을 포함해 약 60억7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어 김영진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은 약 59억821만원의 재산을 신고하며 2위를 차지했다.
 
본인 명의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배우자 명의의 다른 반포동 아파트 전세권을 비롯해 약 34억6000만원의 부동산과 약 15억9000만원 예금, 약 12억8000만원 상당의 증권 등이 신고됐다.
 
다음으로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본인 및 가족 소유 예금(28억9000만원)과 배우자 명의의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33억5000만원) 등 약 56억6000만원을 신고해 3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42억2421만원,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이 24억2922만원을 신고했다.
 
이종석 국정원장의 재산은 19억9192만원으로 지난 6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요청서 신고액과 비교하면 2000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졌으며 국정감사 출석 요구를 받고 있는 김현지 총무비서관도 재산공개 대상자에 포함됐다.
 
김현지 비서관의 재산은 11억8373만9000원으로 부동산은 본인 명의의 경기 성남시 아파트(3억7500만원)와 배우자 명의의 경기 성남시 사무실(3억1500만원) 등이며 예금 16억6865만원, 채무는 9억8938만원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윤석열 정권에 있다가 퇴직한 참모 중에는 김동조 전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이 239억488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 전 비서관이 보유했던 비상장주식의 가치가 감소하면서 직전 신고보다 114억여원이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장호진 전 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은 종전보다 2억2000여만원 줄어든 158억1930만원,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은 1억8000여만원 늘어난 149억8567만원을 신고했다.
 
정진석 전 비서실장은 종전보다 9억4000여만원 늘어난 98억3831만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