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송환 피의자 잇단 송치···대학생 사망사건 이후에도 피해 신고 이어져
2025-10-28 김시온 기자
28일 경기북부경찰청 형사기동대는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위반 등 혐의로 캄보디아 현지에서 체포된 인원 가운데 11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7일에는 충남경찰청이 송환된 45명 중 10명을 송치했고, 24일에도 20명을 검찰에 넘긴 바 있다.
이번에 경기북부경찰청에서 송치된 11명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9월까지 조건만남을 빙자해 피해자들로부터 금전을 갈취한 로맨스스캠 범행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홈페이지 제작 및 SNS 홍보를 담당하는 ‘홍보팀’과 피해자를 유인해 금전을 편취하는 ‘로맨스팀’으로 조직을 나눠 활동했다.
근무 중에는 실명 대신 가명을 쓰고, 휴대전화 사용과 사진 촬영을 금지했다. 또 부서 간 업무 내용을 공유하지 못하도록 차단했다.
홍보팀은 SNS에 이성 만남 광고를 올려 피해자들의 연락을 유도했고, 연락이 오면 로맨스팀이 여성인 척 대화하며 금전을 빼앗는 수법을 썼다.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36명, 피해액은 약 16억 원에 달한다. 경찰은 추가 피해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가 이어지자 외교부도 대응 부실을 인정했다.
외교부는 관계 기관 간 공조 체계 미비를 지적하며 “경찰청 등과 함께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주캄보디아대사관이 접수한 온라인 스캠 범죄 관련 취업사기·감금 피해 신고 건수는 올 9월 기준 386건으로, 8월 330건에서 56건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금년에 신고된 총 386건 중 296건이 종결돼 현재 90건이 미종결 상태이며, 작년도 접수된 신고 220건 중 미종결된 12건과 함께 총 102건이 미종결 상태”라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또 “캄보디아 공관 인력 증원 및 취업사기 유의 안내 등 노력을 기울였으나 올해 들어 피해 신고가 더욱 빠르게 증가했다”며 “저희 접근법에 근본적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당 사안은 외교부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임에도 범정부 차원의 노력은 미흡했다”며 “앞으로 경찰청과 함께 캄보디아 치안 당국과의 현장 중심 공조 체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는 내달 초 주캄보디아대사관에 경찰관 2명을 추가 파견하고, 행정직원 신규 채용과 교민 영사협력원 선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는 공관 정원에 경찰주재관 1명과 해외안전영사 3명을 추가하기 위해 유관 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