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자영업자 울리는 신종 ‘노쇼사기’···올해만 피해액 ‘737억’
2025-11-10 김유진 기자
10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노쇼사기 피해 접수 건수는 4506건, 피해액은 73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쇼사기’는 정부 기관 등을 사칭해 단체 구매를 예약하고, 대량 주문으로 쌓인 고객 확보 기대를 바탕으로 대리 구매를 유도해 범죄계자로 송금하게 사는 신종 사기 수법이다.
해당 수법은 ‘대량 주문 가능성’에 희망을 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심리를 교묘히 악용해, 음식·물품 손실은 물론 다른 고객을 잃는 이중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에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허 의원은 “강원경찰청이 이번에 검거한 ‘노쇼사기’ 조직도 캄보디아 등 해외에 거점을 둔 조직화 된 범죄 집단임이 확인됐다”며 “사기 범죄의 피해자 대부분은 영세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으로, 거래 한 건 한 건이 생계와 직결되는 분들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들의 선의를 이용해 손해를 입히는 행위는 단순한 금전 범죄를 넘어 사회적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경찰청 차원의 상시 단속 체계 구축과 피해 예방 및 구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노쇼사기 피해가 확산하면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7일 울산의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는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 업체를 알려줄 테니 구매해주면 나중에 결재해주겠다’는 전화가 걸려왔다.
이는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참사를 악용한 노쇼사기로, 전화를 건 사기범은 위조된 사원증까지 보내며 입금을 요청했다.
또한 울산의 한 음식점에서는 전화로 도시락 100개를 주문한 뒤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아울러 자신을 시청 문화예술과 직원이라고 소개한 손님이 김밥 300줄을 주문하며 음료 대리 구매를 요청한 뒤 600만원을 가로채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경찰 관계자는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해당 공공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확인하고, 일정 금액을 예약금으로 요구할 필요가 있다”며 “대리 결재 명목으로 계좌이체를 요구할 때 절대 입금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