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돌봄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예고···일부 학교 또 ‘빵급식’
2025-11-19 김유진 기자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10만명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릴레이 총파업을 예고했다.
연대회의는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총 8차례에 걸쳐 집단임금 교섭을 벌였지만, 교육 당국이 노동조합 요구를 일축했다”며 “교육 관료가 노동자를 총파업으로 내몰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는 차별 해소 예산 편성과 저임금 구조 해결, 학교급식 종합대책 마련, 교육공무직 법제화, 학교급식법 개정이라는 절박한 요구에 즉시 응답해야 한다”며 “총파업 이후에도 진전된 안이 없다면 신학기 총력 투쟁으로 더욱 강력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의 파업은 권역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날인 20일에는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에서,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에서 파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파업은 임금 인상과 복리후생 개선을 요구하는 연대회의와 예산 한계를 이유로 난색을 보이는 교육 당국이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불거졌다.
연대회의는 지난 13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과의 6시간 본교섭에서 ‘교육공무직 임금체계 개편’, ‘기본급·명절상여금 격차 해소’, ‘방학 중 무임금 문제 해결’ 등을 요구했다.
다만 교육 당국은 ‘기본급 7만2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 등을 제시하는 데 그쳤고, 다른 요구안은 대부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급식이 중단되는 학교 학생들은 파업 당일 빵·우유 등으로 점심 식사를 대체할 예정이다. 이미 일부 학교는 학부모들에게 대체식품 제공 사실을 알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늘봄교실 등 돌봄 서비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파업 당시 전체 학교의 3.3%인 201곳에서 늘봄교실이 중단됐고, 유치원 37곳이 파업에 참여한 바 있다.
이에 광주·전남 시도교육청은 학생·학부모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광주시교육청은 비상대응본부를 꾸려 총파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장의 업무 공백에 신속 대응하기로 했다. 특히 학생 생활과 안전이 직결되는 분야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전남도교육청도 본청과 전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현장 주요 현안 사항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긴급 대응팀을 구성했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결코 노사 갈등의 희생양이 돼서는 안 된다”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피해를 주는 파업계획을 철회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