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기 파동'으로 인해 청와대 인사라인이 코너로 몰린 가운데 이 대통령의 '측근 지향' 인사스타일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
[투데이코리아=강주모 기자] '정동기 인사파동'으로 청와대 인사라인의 발길이 분주해졌다.

무엇보다 청문회가 열리기도 전에 여당의 '자진사퇴'를 종용받는 등 톡톡히 쓴맛을 봤기 때문에 다시 선정한 후보자가 또다시 낙마할 경우 그 타격은 심각한 '레임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야권의 '카더라' 식 의혹제기도 문제지만 무엇보다도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낙마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른바 '측근' 위주의 인사가 가장 큰 문제라는 것.

정 후보자의 낙마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대통령 취임 이후 벌써 8번째다.

2008년 2월, 한승수 총리를 필두로 첫 내각명단을 내놨지만 박은경 환경부장관 후보자, 이춘호 여성부장관 후보자, 남주홍 통일부장관 후보자 등이 줄줄이 쓴맛을 봤다.

2009년 7월에는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가 또다시 낙마하자 청와대는 수석급 인사기획관을 신설해 고위공직자 인사추천과 검증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지난해 8·8개각에서는 김태호 총리 후보자에 이어 신재민, 이재훈 장관 후보자 등이 낙마해 버렸다. 상황이 이쯤 되자 청와대는 후보자들에 대한 완벽한 사전 검증을 위해 '자체 모의 인사 청문회'를 하기로 했으며, 검증서 항목도 기존 150여개에서 200개로 늘리는 대안을 내놨다.

그러나 수석급 인사기획관직은 줄곧 공석으로 있다가 지난 연말에 슬그머니 폐지됐다. '자체 모의 인사 청문회' 역시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검증 절차의 강화에 대해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의 청와대 인사라인의 안목이 국민들의 달라진 눈높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대통령이 임태희 대통령 실장을 직접 찾아가 "동요하지 말라"고 위로을 했다지만, 이번 인사파동을 두고 임 실장 등 참모진의 책임론이 쉽게 가라앉을 것 같지 않다. 특히 임 실장은 감사원장 인선을 총지휘하면서 고교(경동고) 3년 선배인 정 후보자를 적극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구누구 책임 할 것 없이 최종 인사 결정권자는 대통령이다. 대통령의 '측근 위주'의 인사 스타일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의 인사도 같은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을 거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명지대 신율 교수도 "어떤 정권이든 후반기로 갈수록 레임덕을 막기 위해 자기 측근을 기용하려 한다"며 "그렇게 한다고 레임덕이 막아지지 않는다는 사실은 역대 정권을 통해 알 수 있는데도,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측근, 보은 인사가 가장 큰 문제인 만큼 지금이라도 인재풀을 좀 더 늘리라고 주문한다.

인사는 만사라고 했다. 청와대는 또다시 불거진 인사파동을 잘 새겨서 '측근', '보은'인사로 더 이상 아까운 시간을 허비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