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두관 민부강국연구소 이사장

한 때 '리틀 노무현'이라 불리며 시골 이장에서 군수를 거쳐 행자부장관에 이르기까지 그의 인생역정은 소위 권력의 높은 자리로 점프 점프를 거듭해 왔다.

그는 스스로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정치인이라고 자부한다. 그래서 그는 지방에서 풀뿌리 정치를 해온 주지사 출신들이 대통령 당선자가 많은 미국의 예를 들며 현장에서 땀흘린 사람도 중앙정치에 참여할 기회가 열리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위 '개천에서 용나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잘 살 수 있는 사회, '민부강국'시대를 이루는 것이 그의 비전이자 희망이다. 김 전 장관은 그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 대권에 도전한 것이라고 당당히 밝히고 있다.

-열린우리당의 사수파로 분류되어온 김이사장은 최근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당사수파라는 분류는 언론의 표현일뿐이다. 내가 주장하는 것은 창당정신을 지키자는 것이다. 나는 이제껏 혁신을 주장해 왔다. 따라서 혁신파로 불러주길 바란다. 과거에는 우리당을 전면 개편, 리모델링해서 열린우리당의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가자라고 생각해 왔다.
정세균 지도부에 힘을 실어줘야 된다고 생각한다. 두 전직 대통령께서도 대통합 요청이 있지 않았냐? 크게 같이 가야 한다.

-대선주자로 언급되는 정치인치고는 외곽세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다.
▲국정은 세종로에서 이뤄지지만, 정치는 여의도에서 이뤄진다. 여의도가 다른 분야에 배타적이다. 그래서 지역에서 커 온 나같은 경우는 다른 사람에 비해서 힘들다. 그러나 지방화 면에서 내가 하나의 상징화가 되어 있다. 당내 개혁파로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외연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신기남 전 의장, 김원웅 의원 등과 유연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국의 10만 통장들이 기반이다(웃음).

-한나라당이 열린우리당의 텃밭이라 할 수 있는 광주에서 대선주자들의 첫 정책 토론회를 열었고 광주지역 시민들의 관심도 뜨거웠다. 이를 바라보는 시각은?
▲민주개혁진영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광주에서 한나라당이 대선후보토론회를 연 자체가 우리 사회 변화다. 좋은 현상으로 본다. 호남에서 한나라당 주자에 대한 지지가 높다는 것은 범여권 대선주자들이 중심을 못 잡아 그런 것으로 반사적 이익으로 본다. 한 지역이 한 당이 지배하는 것이 극복되는 것이 좋겠다는 점에선 긍정적으로 본다. 한국 정치가 업그레이드 된다는 면에서 의미있게 본다.

-참여정부 첫 행자부 장관에 임명됐는데 당시 여러 가지 화제가 됐었다. 장관에 입각했던 배경은 무엇인가?
▲노 대통령이 당선자 시절에 “정치개혁에 앞장서고 국정 경험을 쌓는 것이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득에 입각했다. 그때 말은 없었지만 2,3년 정도 맡는 것으로 생각하고 장관직을 맡았던 것이다. 그러나 7개월만에 한나라당이 한노총 문제를 빌미삼아 그만두게해서 많이 아쉬웠다. 내가 일 욕심이 굉장히 많은 사람이다. 그 기간동안 정부혁신을 비롯 주민투표 등 행정개혁을 통해 자치단체에 군림하는 부처가 아닌 서비스를 하는 부처로 거듭나게 한 것을 보람으로 생각한다.

-장관시절 노대통령과 삶의 역경과 일 추진 스타일이 유사하다 해서 '리틀노'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 별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옆동네 처녀와 결혼했다는 것 말고는 코스가 같지는 않은데(웃음). 농촌 출신이고 비주류, 즉 메인스트림 아닌 길을 걸어왔다. 노 대통령이 예전에 지방자치실무연구소를 운영했었고 그래서 국정과제인 지방자치 문제에 공감대 형성이 컸던 것같다. 그래서 풀뿌리 민주주의 현장에서 커 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부족한 역량에도 불구, 장관을 맡은 것으로 본다.

-현장에서 느낀 가장 선행돼야 할 지방자치제의 개선점을 하나 들어달라
▲한시적으로 정당 공천을 배제했으면 한다. 지역당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한 5년 정도 배제하자는 것이다. 또 하나는 의회의 권한이 강화돼야 한다. 자치단체장의 전횡, 예산낭비를 감시하려면 의회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또 예산을 유연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좋은 기획을 많이 하는 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지원을 더 많이 해야 한다. 다만 지방토호 발호 문제나, 지역 이기주의, 성 쌓기는 견제해야 한다.

-남해군수 시절 아마 우리나라 행정관청 최초로 기자실 폐쇄라는 극약처방을 썼다. 최근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실 폐쇄와 관련해 실명으로 지지입장을 발표했는데.
▲일단 취재는 발로 뛰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보의 접근 곤란에 대해서는 비판 여지가 있겠지만, 언론 탄압이라고 까지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두고 봤으면 좋겠다. 건강한 긴장관계를 정부와 언론이 유지하는 게 좋다고 본다. 불합리한 부분을 국정홍보처에서 보완한다고 하니 그걸 지켜봐야 할 것 같다.

-2006년 지방선거 이후 희망대장정을 하면서 개혁진화론을 내세웠다. 이후 얻은 것은 무엇인가?
▲직접 농사를 짓다가 농사 현장을 떠난 지 벌써 15년쯤 되고 해서, 여러 산업 현장을 돌아보기도 했다. 대권에 도전하는 사람른 한 번쯤은 이런 경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이를 바탕으로 살아 있는 정책을 펼치려 노력하고 있다.

-최근 이해찬 대세론이 떠오르고 있다. 경쟁자로서 상당한 의식이 될 것같다.
▲노심이 이해찬에게 있지 않다는 건 내가 안다. 대선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건 좋다고 본다. 역량으로 보면 충분히 경선에 참여할 만한 분이고, 한반도 평화에 대해 기여하고 있는 건 정치인이라면 누구나 해야 할 일이라고 본다. 현재 정무특보를 맡고 있기 때문에 노심이 있지 않은가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 같다. 대선에 나선다면 정무특보 자리를 클리어하게 정리해 주는 게 좋겠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이해찬 대세론을 지역 현장에선 별로 느껴본 바 없다.

-김장관의 대북관과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 듣고 싶다.
▲소득,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 국민들 관심이 많은데, 이런 요구를 해결하려면 북방경제특수에 달려 있다. 그리고 그 시험대가 개성공단이었고 유라시아횡단철도도 연결돼야 꿈의 실크로드가 열린다. 그렇다면 남북화해기조가 유지되어야 이런 거대한 실험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런 점에서 노 대통령과 생각이 같다고 본다. 그런 차원에서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기대하는 일부 사람들이 대북관에서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것을 보면 답답하다. 돈은 벌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는 것이라고 본다. 특히 나는 3단계 통일방안을 주창하고 있다. 1 단계로는 평화체제 정착, 2단계 남북경제통합, 3단계 정치통합이다.

-요사이 전 현직 대통령의 정치개입이 구설에 오르고 있다. 특히 DJ의 '훈수'정치라는 말까지 나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범여권 주자들이 찾아간 면이 있고 원로 정치인이니까 방문해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국가원로니까 국가의 장래를 생각해서 이야기 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