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신영호 기자] 동남권 신공항은 총 사업비가 10조원을 넘고 고용(20만명), 생산(최대 17조원), 임금 (3조원)등 경제유발 효과가 기대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2006년 참여정부 때 노무현 전 대통령이 영남권의 신공항 건설 요구를 수용하고 국토해양부에 타당성 검토를 지시한 데서 비롯됐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7년 대선 후보 시절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 두 곳의 권역별 공약집에 신공항 건설을 약속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공약집은 "동남권에 새로운 공항을 만들어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의 인구 및 물류 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만들 것"이라면서 "실질적인 국가 통합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적시했다. 한나라당은 이 공약집을 2007년 12월 내놓으면서 "이명박 후보가 열어갈 지방성공시대의 의미, 통합을 위한 약속"이라고 규정했다.

이후 정부가 신공항이 들어설 입지 선정 발표를 미루면서 영남권이 들썩이기 시작했다. 사업을 총괄하는 국토부는 2008년 6월 국토연구원의 '동남권 신공항 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를 바탕으로 결과를 발표하려다 3개월 뒤로 미뤘다

가덕도를 미는 부산시와 밀양을 미는 대구경북 울산경남 간 유치 경쟁이 가열되고 이에 편승한 정치권의 압박 때문이었다. 2009년 최종 후보지로 부산 가덕도와 밀양 하남읍을 선정했지만 별다른 이유없이 최종 결과 발표를 올 3월까지로 연기했다.

일이 더디게 진행되자 청와대와 정부가 신공항 입지 결정 발표를 무기한 연기하거나 신공항 계획 자체를 재검토하고 있다는 설이 흘러나왔다. 신공항 유치에 목을 메는 지역 여론은 즉각 반발하면서 신공항 건설 논란이 한층 가열됐다.

국토부는 3월 발표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가덕도와 밀양, 김해공항 확장 세 가지 방안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청와대와 정당이 신공항 입지 선정 문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국토부가 입지 선정 발표에 따른 모든 책임을 떠 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거센 논란 속에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올 상반기 중에 결론이 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강조한 대로 정치적 고려를 일절 배제하고 '법대로' 입지 선정이 되면 최근의 분란은 그나마 조기에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실세 등 '보이지 않는 손'의 입김이 작용해 객관적 타당성에 약간의 흠집이라도 생길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사태로 발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