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실질적 활동 마무리, '예비경선 방식' 신당에 이관

범여권의 대통합 신당 창당과 더불어 대통합 추진의 중심 역할을 했던 국민경선추진위원회(이하 국경추)가 이번주 안으로 일정을 마무리하고 예비경선 등 '경선룰' 문제를 신당에 이관할 예정이다.

국경추 경선규칙 회의에 참석하는 이인영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열린 '국경추 사업 보고회'에서 "금주까지 마무리 하면 실질적인 활동을 끝낸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 예비경선을 둘러싸고 대선예비후보들 간 합의를 이루지 못해, 결국 이 문제를 내달 5일 창당하는 신당에 고스란히 떠넘기게 됐다.

국경추는 지난 6일부터 현재까지 6명의 대선주자 대리인이 참여하는 '국민경선 규칙회의'를 총 10회에 걸쳐 진행했다.

이들은 지난 18일 국민경선과 관련한 합의 사항을 발표했다. 합의 사항에 따르면 △9월 15일부터 국민경선을 실시하고 △2002년 사례를 기준으로 순회투표를 실시하며 △예비경선과 관련한 세부적 사항은 대통합신당 창준위에서 결정한다고 돼 있다.

이는 예비경선을 둘러싼 쟁점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후 국경추는 후보간 이견을 좁히기 위해 몇 차례 더 회의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선규칙 회의를 주도한 이인영 의원은 “현재까지 6개 정도의 쟁점이 있는데, 이 중 2개는 해결됐고 4개만 남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예비경선 '링' 위에 누가 설까

이 중 예비경선을 둘러싼 쟁점은 크게 경선 시기, 투표 방식, 여론조사 반영비율, 예비경선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밖에도 시도당 위원장 구성과 당직배분에 따른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예비경선 방식과 관련해서는 여론조사 또는 통합신당 국회의원과 대의원 등으로 예비선거인단을 구성해 투표하는 혼용안 등 2~3개 안이 검토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인영 의원은 “여론조사만으로 할지, 별도의 경선을 치를 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며 “대통합신당 창준위의 전략적 고려도 반영해 컷오프(예비경선) 방식이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예비경선 일자는 각 후보간 합의에 따라 내달 16일에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가장 쟁점이 되는 사항은 예비경선에서 20명 규모의 범여권 후보들을 어떻게 추릴지 여부다. 여기에는 현재 범여권에 난립해 있는 후보들을 링 위에 다 세울 수 없다는 현실적 고려가 작용한다. 자칫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되고'를 결정하는 '살생부'가 범여권 각 정파의 분열을 자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참여를 제한하는 특별한 기준을 내세우기도 마땅치 않다. 이 의원은 국경추의 입장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일각에서는 TV 토론회를 고려할 때 8명이 적합하다고 말하기도 한다”며 어려움을 내비쳤다.

국경추 총괄본부장인 이목희 의원은 예비경선과 관련해 “예비경선 방식을 미리 정하게 되면 다른 예비후보의 참여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추미애, 조순형 전 의원 등 중도개혁통합신당의 후보들과 열린우리당 친노파에 속한 후보들은 대통합 신당 참여에 반대 또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들이 예비경선 전에라도 대통합 신당 경선 참여를 결심한다면 경선 방식을 재조정하는 게 불가피 하다.

◆ '시한부' 국경추의 한계

국경추는 이러한 중요한 과제를 남기고 활동을 중단하는 데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했던지, '신당에서도 국경추의 활동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 국경추는 25일 '2단계 사업 계획'까지 발표했다. 국경추의 '2단계 사업'은 대통합 신당과 협력 하에 △국민경선 선거인단 모집 △공정경선 관리 활동 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선거인단 모집' 활동은 당원이 아닌 사람의 경우 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국경추는 “모집활동에 참여할 추진위원 등은 대통합 신당 창당 시 입당하고 당원 자격을 획득”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결국 '대통합을 목표로 활동해 온 국경추는 대통합이 성사된 이상 독립적 활동을 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어차피 지난 4일 범여권 대선주자 6인이 참여한 '연석회의'에서 합의한 “창당이전 국민경선 규칙 마련 및 제반 준비 담당”이라는 규정에서도 '창당이전'이라는 단서가 붙어있다.

하지만 국경추가 이번 활동 시한을 끝으로 완전히 사라진다고 볼 수는 없다. 현재 국경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정치인 그룹'은 전부 범여권 인사들로 구성돼 있기 때문이다.

이들 중에는 현재 대통합 신당 발기인으로 등록된 사람도 있지만, 아직 열린우리당 당적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당적을 가진 사람들은 합당 작업이 마무리 되면 곧바로 신당에 참여한 뒤 국민경선 과정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연속성'이 유지되는 셈이다.

국경추는 현재까지 16개 시·도 중에서 12개 시·도의 지역본부 결성까지 완료한 상태다. 이목희 의원은 '국경추의 시·도 본부가 신당의 시·도 당으로 이관되는 게 아니냐'는 물음에 “신당 작업에 참여하는 것은 자유다”면서 “실제로 그런 움직임이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