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 불발되자 파업 불참…'파업 연기인가 철회인가'



[투데이코리아=정단비 기자] 얼마 전까지 12년 만의 파업이라며 삭발까지 하던 전국금융산업노조가 어느 순간 조용해졌다.

지난 29일 금융노조는 "총파업 경고만으로도 우리금융 민영화 저지 등 큰 성과를 거둬 파업을 잠정 연기한다"고 말하며 '총파업 무기한 연기'를 선언했다.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일어난 일이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금융노조의 총파업 무산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는 쪽이 다수이다. 금융노조의 최대 지부인 국민과 농협, 신한, 우리, 하나 등 5개 은행이 모두 파업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금융노조가 파업 연기 선언을 하기 전에도 메가뱅크와 산업은행 민영화 저지, 농협의 자율성 확보 등의 명분을 내세웠지만 한편에서는 그래도 '밥그릇 챙기기'라는 비판도 있었다.

앞서 금융노조는 대학생에 대한 무이자 학자금 지원과 신규 인력 채용 확대, 비정규직 해소 등의 사회공헌 확대를 위한 요구사항도 내놓으며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이번 투쟁은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며 금융권의 사회공헌을 확대하고 금융산업을 살리기 위한 목적”이라며 “우리금융 매각이 무산되더라도 총파업은 그대로 진행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사실 우리금융 매각을 앞두고 5개 은행 중 국민과 우리은행 노조는 당초엔 총파업에 대한 의지가 상대적으로 있었다. 우리금융 매각이 성사될 경우 당장 구조조정의 위협에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하지만 KB금융이 우리금융 인수를 포기하면서 상황이 180도 변했다. 농협 역시 총파업 전날 노사가 극적으로 협상에 합의하면서 불참으로 돌아섰다.

결국 조합원 1만명 이상을 보유한 대형 지부들이 모두 총파업 불참을 선언하면서 파업을 한다고 했으나 진행할래야 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이에 일부에서는 "국민들에게 사회적 책임다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우더니 밥그릇을 챙기니 파업 연기를 선언했다"며 "결국 사적 이득을 위한 파업이 아니었냐"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30일 금융노조 관계자는 "이번에 파업을 연기하게 된 데는 파업동력이 떨어진 부분이 있다. 이는 인정할 수밖에 없는 객관적 사실"이라며 "하지만 남은 과제들을 뒤로 미는 것은 절대 아닌 만큼 협상을 통해 국민들과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그간 수차례에 걸쳐 사측과 비공개 교섭이 있었다"며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포함에 사측에서도 많은 부분을 공감하고 있고 거부할 명분도 크지 않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파업 '연기'지 '철회'가 아니라고 강조하는 금융노조가 언제 다시 파업을 개시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연기함에 따라 전국 은행의 전 영업점은 정상 영업해 ‘금융대란’은 피하게 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