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기술개발 결과 관망 후 전문가 공청회 거쳐 구축 예정"

[투데이코리아=박기호 기자] 정부가 북한의 사이버 테러 등에 대비해 국방 금융 에너지 등 주요 정보통신망의 보안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 개발에 착수한 것이 한 언론 보도에 의해 알려졌다.

독자적인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데 이어 사이버 안보를 위한 네트워크 방어망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일어난 D-D0S 공격의 배후가 북한으로 지목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로인해 단순 개인과 기업 차원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가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는 주장과 부합되는 바람직한 시도로 평가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추경예산에서 98억 원을 '지능형 망' 관련 기술 개발에 처음 배정했다. 이는 주요 정보통신망의 길목(게이트웨이)에 '사이버 검문서'역할을 하는 '스마트 라우터'를 설치해 사이버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개념이다. 스마트 라우터는 접근자의 보안등급을 판단한 뒤 접근을 차등적으로 허용한다. 또 고도의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설령 망이 해킹을 당해도 정보가 유출되지 않게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관계자는 "ETRI는 지능형 망의 핵심인 라우터 기술과 모바일 기반 VPN(가상사설망) 기술을 이미 상당 수준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개발에 착수할 지능형 망 구축 사업은 '한국판 GIG(Global Information Grid) 프로젝트'로 불리고 있다. GIG 프로젝트는 미국이 2020년 구축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총체적 통신 보안 사업을 일컫는 말이다. 미국은 약 20억 달러(약 2조1200억 원)를 들여 2002년부터 국방부가 주축이 돼 미군과 자국 정보기관이 전 세계 인터넷 망을 해킹의 위험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GIG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술은 안보 전략상 수출 금지 품목으로 지정돼 있다.

이에 대해 국내 보안업계는 한국판 GIG 최종 구축까지는 최소 50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엄청난 자금이 필요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실제 지능형 망은 기술 개발 결과를 지켜본 뒤 전문가 공청회를 거쳐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