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경영진 막중한 책임의식 보여야 할 것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국내 최고라 자부하는 이동통신 SK텔레콤은 지난 20일 저녁 통신장애를 일으켜 수백만 명의 가입자가 거의 6시간 동안 통신이 두절되는 불편을 겪었다. 최대 560만 명의 고객이 피해를 입어 전례 없는 '통신대란'이다.

이번 사고로 SK텔레콤 측은 최대 560만 명의 피해 고객에게 약관에 기재된 6배보다 많은 10배를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사고 시간대에 통화를 못한 SK텔레콤 고객 1인당 평균 4300원에 해당된다.

하지만 실제 보상금은 이보다 적어 이용자들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또한 보상금은 요금제에 따라 다르다. 62요금제 기준 SKT 통신장애 보상 금액은 1683원에 불과했으며 LTE 요금제 중 가장 아래인 34요금제는 1130원 정도다. 더 낮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의 보상 금액은 500원도 안 되는 셈이다.

회사 측이 쥐꼬리만큼의 보상금으로 서비스 중단 사태의 피해자들을 무마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이번 사고 이후 회사 측 대응을 보면 우리나라 통신업계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이 맞는지 의심이 든다. 그래서 이번 사건을 가볍게 볼 수 없다. 이번 사고는 전화를 거는 상대방의 위치를 찾아주는 내부 서버에 이상이 생겨 일어났다고 한다. 이는 그간 장비 관리와 유지보수가 얼마나 허술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동통신사들의 서비스 불통 사고는 수차례 행사가 된 지 오래다. 이번에 말썽을 일으킨 SK텔레콤은 불과 1주일 전에도 통신 장애가 발생해 문제가 됐다.

또 지난해 9월에는 울산지역에서 SK텔레콤 가입자들이 1시간가량 데이터 사용에 불편을 겪기도 했다. 이번 SK텔레콤의 파문이 확산되자 하성민 사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대국민 사과와 함께 피해 고객에 대한 보상을 약속했다. 그러나 '돈으로 사건을 무마하겠다'는 식의 말 한마디로 그냥 뭉갤 사안인지 모르겠다.

SK텔레콤은 국내 이동통신시장 점유율 50%에 해당된다. 휴대전화를 가진 사람 2명 중 1명이 OK텔레콤을 이용한다는 말이다. 이 때문에 이 기업의 통신망이 작동을 멈추면 가입 고객을 포함한 국민들 간의 원거리 소통이 대부분 두절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휴대전화의 불통은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생계와 경제활동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이번 불통 사고로 대리기사, 배달음식점, 택배업계는 물론 인터넷 쇼핑업계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또한 재난 대비 수단이기도 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통신망 마비는 국민의 안전과 목숨이 걸린 문제이기도 하다.

하나하나 따지고 보면 중대한 사안이 될 수밖에 없다. 통화 품질 확보는 이동통신사가 갖춰야 할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간 휴대전화 서비스가 좋게 바뀔 때마다 이동통신업계는 보조금과 광고 등 마케팅에만 집중하다 보니 통신망 관리에 소홀했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동통신사 선도기업인 SK텔레콤은 지난해 불법 보조금으로 적발돼 과징금만 수백억 원에 이른다. SK텔레콤이 연간 쏟아 붓는 마케팅비는 잿밥에 눈이 멀어 고객 서비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마저 잊은 게 아닌지 묻고 싶다.

마케팅 비용이나 보조금 경쟁에 들어가는 돈 가운데 일부라도 통신품질 보강과 장비 관리에 조금만이라도 투입했더라면 이런 사고는 대부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SK텔레콤은 최근에도 경쟁 회사의 고객을 뺏기 위한 진흙탕 싸움을 벌여 영업정지 제재를 받았다. 이어 휴대전화 서비스가 좋아질 때마다 '망 투자에 막대한 돈이 든다' 며 요금을 인상해 놓고선 정작 통화품질 관리는 뒷전이었으니 누구도 회사 측의 말을 믿겠는가.

SK텔레콤 경영진은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것이며,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만큼 통신사업자로서 막중한 책임의식을 보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