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성장률 감수…대기업이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추진해야

[투데이코리아=이규남 기자] 주요국 중 한국에서 '임금없는 성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경고가 나왔다.

'임금없는 성장'이란 노동생산성은 늘어나나 실질 임금은 줄어지는 것을 말한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27일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한국은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이 서로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급격히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2012년 사이 2.3% 줄었다.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에는 실질 임금이 각각 19.4%와 17.6%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눈 실질노동생산성은 2008년 이후 5년간 9.8% 증가했다. 실질노동생산성 증가율은 98~2002년, 2003~2007년 각각 21.0%와 17.4%로 같은 기간 실질임금 상승률과 거의 비슷했다. 결과적으로 함께 움직이던 실질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이 2008년 이후 괴리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국에서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들을 제외한 18개국 가운데 2007~2012년 실질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곳은 영국과 일본, 이스라엘뿐이다.

2008년 이후 5년간 한국의 실질노동생산성은 18개국 중 가장 빨리 상승했다. 결국 한국은 비교 대상 주요국들보다 노동생산성은 가장 빠르게 오른 반면, 임금 증가 속도는 최하위권에 속해 두 지표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박 연구위원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한국의 임금 없는 성장이 제일 심각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4%대 성장률을 기록하더라도 현 구조에선 경제의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는다며 대기업이 돈을 쌓아놓지 말고 근로자의 88%가 속한 중소기업에 정당한 몫을 주도록 유도하는 ‘동반성장’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