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언론 '세월호 침몰사고'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라고 지적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최근 아찔한 사고가 줄을 잇고 있어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전 사회가 안전을 부르짖는 와중에 지난 2일 오후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삽리역에서 열차가 추돌해 승객 240여 명이 다쳤다. 다행히 급제동을 해 시속 15km 속도로 추돌해 큰 인명피해는 피할 수 있었다. 만약 평소처럼 시속 60~70km로 달렸으면 대형 참사가 일어났을 것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열차는 수동으로 운전하지만, 다른 노선과 마찬가지로 열차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멈추는 자동 안전거리 유지장치를 모두 장착하고 있다. 열차들의 운행 과정을 통제하고 연락하는 중앙관제센터가 상시 가동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도 이런 사고가 벌어졌다.

관계자들은 자동 안전거리 유지장치의 고장 때문으로 추정한다고 하지만 고장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거나 정비하지 않고 그대로 운행한 탓일 것이다.

이에 더해 중앙관제센터가 차량들 사이의 간격이나 고장·정차 상황 따위를 제대로 파악하고 경고하지 못한 잘못, 기관사의 방심 등이 겹쳐 이런 사고가 벌어진 것이 아닌지 의심된다.

지하철 차량의 사용연한이 20년에서 30년으로 늘어나면서 23년 된 노후차량을 운행하다 사고가 난 것도 세월호와 닮았다. 어느 한 단계에서 누구든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원칙대로 일했으면 피할 수도 있었던 사고였던 셈이다.

사고 이후의 대응도 문제점투성이다. 충돌 직후 두 차량 모두 안내방송이 즉각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바로 안내방송을 해 승객들을 안심시키고 대피로 이끌어야 한다는 수칙은 무용지물이었다.

이날 사고 뒤 20여분 동안이나 안내방송이 없었으니 승객들의 불안과 혼란이 얼마나 컸겠는가. 기다리라는 말 뒤 침몰 때까지 대피 방송이 없었던 세월호 사건과 이 대목에서도 닯았다. 승객들은 스스로의 결정으로 불안감 속에서 지하선로를 따라 대피해야 했다. 신속한 구조 시스템은 여전히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의 선진국을 바라본다면서 안전문제에 관해서는 후진국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외국 주요 언론들은 세월호 침몰사고를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라고 지적했다.

과거 인재 사고부터 오늘날 인재 사고까지 우리나라의 안전대책은 20년 전이나 후나 똑같다고 생각한다. 정부와 관계 당국의 조치도 한참 모자르기 짝이 없다.

또 다시 재난대응체제가 총체적으로 부실하다는 점을 광고하는 마냥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참혹한 사고의 가능성은 언제나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이어 지하철 추돌사고를 지켜본 국민들은 단순한 불안감을 넘어 안전 공포에 떨게 됐다. 한발 한발 내디디기조차 불안한 지경이다.

이젠 안전시스템을 보강하고 하나하나 꼼꼼히 다시 점검하고 정비해야 한다. 안전한 사회는 결코 말만으로는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풀어지고 느슨해진 안전의식을 단단히 조이는 일이야말로 국가 개조를 위한 의식 개혁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