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변함없는 우리나라 안전대책..국민들 불신 넘어 위기 상태까지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세월호 참사가 가시기전 또 다른 인재(人災)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국민들은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경기도 고양시 고양종합시외버스터미널 지하에서 불이나 8명이 53명이 부상한데 이어 경기도 시흥 시화공단에서 불이나 1명이 다쳤다. 또 28일에는 전남 장성의 요양병원에서 방화로 인해 21명이 숨졌다. 이것도 모자라 서울에서도 홈플러스 동대문점 주차장과 종로구 SK 그룹 지하 주차차량에서 불이 나 시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이어 지하철 3호선 도곡역에 진입하는 전동차 안에서는 70대 남성이 인화물질을 뿌리고 불을 지르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서울지하철 추돌,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시화공단 화재 등 대형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니 우리 사회는 안전한 것인지를 다시 묻게 된다. 하루하루 주변에서 어떤 안전사고가 벌어질지 신경을 바짝 곤두세우면서 살아가는 하는 현실에 국민들을 불안케 한다.

앞서 장성 요양병원 사고도 철저한 대비를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전 사고와 별반 차이 없는 인재(人災)다. 경찰은 방화를 저지른 혐의자를 잡아 조사 중이다.

불이 난 병원 별관에는 78명이 입원 중이었다. 환자는 대부분 고령자로 중풍, 치매 환자로 이루어져 있다. 스스로 재난을 피하기 힘든 사람들이다. 7분여 만에 화재를 모두 진압했지만 많은 희생자를 냈다. 환자들이 스스로 대피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도 빤한 사실이니 이에 맞는 대응 메뉴얼을 갖추고 있어야 했다.

그런데도 심야 근무를 한 사람은 당직 간호사 1명과 조무사 2명뿐이었다고 한다. 구난은 애초 힘들 수밖에 없었다. 불이 나자 소화기를 들고 달려간 간호조무사도 안타깝게 숨지고 말았다. 어떤 논리로도 변명되기 힘들다.

사고 1주일 전 장성군청이 소방 설비 구비 여부 등 현장 점검을 벌였지만 사고에는 속수무책이었다. 점검을 부실하게 했거나 했더라도 형식적이지 않았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참화가 빚어질 수 있는 병원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는 사실이다. 요양병원의 상황은 엇비슷하다. 창문에는 창살이 쳐져 있으며,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는 병실에 누워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손발을 묶어 둔다고 한다. 화재 때 도움을 받지 못하면 꼼짝 없이 큰일을 당하게 된다. 요양병원 중 이에 대한 대비를 해둔 곳은 몇 곳이나 될까?

특히 이번 화재는 2010년 경북 포항 인덕노인요양센터 화재 사건의 판박이다. 그때도 할머니 10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한 중증 노인 환자이기 때문에 대피에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라는 걸 포항 화재사건은 우리에게 알려줬다. 그저 몇 발짝만 떼도 건물을 빠져나올 수 있는데 그러질 못해 화염에 휩싸이는 것이다.

결국 정부는 지난 포항 요양센터 화재로 수많은 생명을 잃고도 아무것도 변한 게 없었다.

눈에 보이는 사고도 문제지만 사람들의 불안감과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것도 더 큰 문제로, 불안이 전염될 가능성마저 제기되면서 위기감을 자극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무엇이 원인이고 잘못됐는지, 대책 등을 빨리 알리는 등 적극적인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세월호 참사 후 그토록 무수히 제기했던 우리 안의 또 다른 세월호 문제는 이번 화재로 여전히 입증됐다. 세월호 침몰로 온 국민이 안전에 잔뜩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인데도 이런 사고들이 무수히 터졌다. 도대체 우리 사회가 세월호로부터 무슨 교훈을 얻은것인지 모르겠다.

우리는 아직도 말로만, 머리로만 안전을 외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세월호 참사로 300여명이 희생돼, 국민들이 항상 안전을 걱정하고 있는 와중에 잇따른 화재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소방당국이 조사를 해봐야 원인이 나오겠지만 이번 화재도 안전수칙, 작업수칙을 지키지 않아 발행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도대체 얼마나 많은 국민들이 희생당할 때까지 이런 안전사각지대를 방치할 것인지, 중앙정부나 지자체 할 것 없이 상황을 중요시 여기고 심각하게 대처 방안을 생각해 봐야한다.

또한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직사회의 분위기가 붕 떠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안전 혁신 마스터플랜'을 완성하기전이라도 안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소중한 국민들을 안전사각지대에 더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단 1%의 위험도 감수할 수 없는게 사람의 생명이고 안전이다. 내가 피해를 당할 수 있고, 내 가족이 희생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우리안의 안전 불감증을 해소해 나가야 할 때다.

지난 세월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다시 한 번 경각심을 일깨워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