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불안해 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대비책 마련 필요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최근 국제적 이슈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지난 2월 서부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지금까지 감염자와 사망자는 수천 명이나 이르게 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부산과 경남에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를 발견하면서 대한민국을 공포에 몰아넣었다.

에볼라의 위험성은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고 단순한 접촉만으로도 전염된다는 데 있다. 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치명적이고 매우 빠른 속도로 전파되어 전 세계는 에볼라를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에볼라는 치사율이 높고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치료 과정에서 감염 사례가 많아 의료진들도 무서워하는 질병이다. 현재 국내에는 에볼라 환자를 치료한 임상 경험을 지닌 전문가가 없다.

의료계에서는 현지에 가더라도 실제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우리나라 의료진들도 에볼라에 감염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백신 개발도 안 된 상태에서 우리나라는 대규모 신종 감염 질환에 대응해본 경험이 전무한 것도 의료진을 불안에 떨게 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얼마 전 박근혜 대통령이 유럽정상회의에서 보건인력 파견 방침을 밝힌 직후 정부는 국내의료진을 에볼라 발생국가인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기니 3개국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내년 1월까지 순차적으로 민간의료진, 군 의료진, 공무원 등 20여명을 파견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준비가 덜 된 만큼 너무 서두른 경향이 있어 보인다.

에볼라 퇴치 지원에서 우선 생각할 것은 파견 인력의 안전성이다. 에볼라 환자의 5% 정도는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다. 철저한 감염 예방 대책과 함께 만에 하나 우리 의료진이 감염될 경우의 대비책도 세워놓아야 한다.

정부는 현지 치료, 제3국 이송, 국내 이송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특히 국내 이송의 경우에는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대비책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또한 정부는 에볼라 환자 발생 시 2차 감염을 막을 격리 건물과 병실조차 없는 실태부터 돌아봐야 한다.

지난 9월에 사망한 에볼라 의심환자의 경우를 보면 정부의 조치는 한심할 정도다. 질병관리본부에 전화했지만 연결조차 되지 않았고 환자가 입원한 병원은 정부 지정 에볼라 치료시설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대응 체계를 보고 있자니 한숨과 분노가 치민다.

이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다면 정부는 감염에 대비한 방역 훈련도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가지고 이행해야할 것이다.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에볼라를 두고 긴장을 늦춰선 안 된다.

만에 하나 조금이라도 준비가 미흡하다면 돌이킬 수 없는 사상 초유의 인류 재앙에 치닫게 될 것이다. 보다 빠르게 국내 감염을 차단할 방안을 사전에 완벽하게 갖춰 놓아야 한다. 가능한 모든 위험과 혼란요소를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공포에 몰아넣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예방하고 또 예방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