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지난달 3일 충북 진천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안성과 용인에서까지 확진되면서 방역 초비상이 걸렸다.

경기 용인에의 한 돼지 농장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들어왔고 의심되는 농장은 30여곳으로 2만5,000여 마리의 돼지가 살처분됐다. 또한 돼지에 이어 6일에는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소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2010년 11월 구제역이 발생한지 4개월 만에 급속도로 확산돼 3조원의 손실이 발생했던 악몽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방역 당국은 축산차량 운행을 통제하고 도축장 등에 대한 방제에 나서기로 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과 경로조차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충분 진천에서 안일하게 대응한 탓이다. 매번 반복되는 지적이지만 이번에도 초동대처에 실패한 것이다.

구제역은 전염성이 강해 한 번 발생하면 무섭게 번진다. 그런 만큼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축산 농가가 합동 방역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골든타임에 신속하고 과감한 조치를 취해 더 이상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 가축 이동 제한 조치를 비롯해 백신 추가 접종, 차량과 외부인의 농장출입 통제 등을 철저하게 시행해야 한다. AI도 미리 확산을 막아 초반에 진압해야 할 것이다.

현재로선 백신접종이 구제역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이다. 4년 전 백신접종을 회피했던 당시와는 상황이 다르다. 돼지는 주사 놓기가 까다롭고 낮은 항체 형성률을 고려해 두 번 이상 접종하려면 매우 힘이 든다.

또한 업체들이 공급하는 백신의 효능도 각기 다르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공급한 백신의 신뢰도 문제로 보다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는 뜻이다.

농식품부가 구제역 위기 경보 단계를 격상하지 않고 당분간 현행의 '경계' 상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하지만 대비책만큼은 철저하게 마련해야 한다. 도축장의 일제 소독과 가축류 이동중지, 농가주변 이동제한 초소 증설 등 각각의 조치에 빈틈을 보여서는 안 될 것이다.

구제역과 함께 철새가 한반도를 찾는 계절인 만큼 가금류를 키우는 농가의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도 우려된다. 방역을 위한 총력전을 펼칠 때다.

정부는 4년 전의 재앙 사태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방역당국 또한 재빠른 피해를 막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 치유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