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의 캠핑장에서 불이나 5명이 목숨을 잃고 2명이 다치는 참사가 일어났다.

이번 화재는 캠핑장 안전관리가 얼마나 허술하고 후진적인지를 보여주는 인재(人災)다.

사고가 발생한 강화도 동막 해수욕장은 수도권에서 가까운 데다 자연환경도 뛰어나 주말이면 많은 가족 단위 관광객이 몰려드는 곳이다.

호텔이나 콘도 같은 대형 숙박 시설은 거의 없는 반면 펜션과 캠핑장 같은 소규모 휴양시설이 몰려 있는 지역이다.

소박하게 주말을 보내려던 아버지와 어린 자식들이 어이없는 사고로 목숨을 잃은 것이다. 무엇보다 세월호 참사 1주년이 다가오는 시점에서 들려온 소식은 마음을 더욱 무겁게 한다.

세월호 이후에도 우리는 여전히 안전불감증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안전의식이 과연 온전한지 모두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이번 화재는 안전사각지대인 사설캠핑장의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전국 캠핑시설 1866곳 중 관리주체가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인 공공캠핑장은 359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78%는 공원시설이나 휴양지 인근 등에서 일반인이 임의로 운영한다. 사설캠핑장은 일정한 등록기준을 갖춰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돼 있지만 강제 규정이 없다.

안전행정부가 일제 안전점검을 벌이기도 하나 위반 사항이 적발돼도 시정명령·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을 내릴 권한이 없다.

해당 화재 캠핑장은 화려한 캠핑장이라는 뜻을 가진 글램핑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불이 난 인디언 텐트도 컴퓨터와 냉장고·난방시설·침낭 같은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글램핑장 상당수는 불에 취약한 천막을 사용하는 데다 전기시설조차 과부하 위험 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처럼 모호한 시설의 관리가 나중에 대참사로 이어질 것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는 자체가 이해할 수 없는 노릇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은 우리 사회의 최대 화두가 됐다. 이에 정부는 대통령의 특명에 따라 국민안전처를 신설했다. 각 부처에 분산된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능을 한 부처로 통합해 안전에 관한 정책 사령탑 기능을 강화하고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크고 작은 안전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도대체 정부는 국민안전처를 만들고 나서 뭘 했는지 궁금하다.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던 정부의 안전 대책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제자리 걸음을 반복하고 있다. 매번 안전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이렇게 늘 뒤쫒아 다니니 안타까운 희생만 늘어날 뿐이다.

더이상 국민의 억장이 무너지는 인재(人災)가 생기지 않도록 모두가 철저한 예방대책과 꼼꼼한 안전점검으로 악순환의 반복 고리를 끊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