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최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데이터요금제를 내놓으면서 30년 넘게 사용한 음성·문자 중심의 이동통신 요금제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흐름이 크게 바뀌게 됐다.

데이터요금제는 음성통화와 문자메세지를 무료로 사용하는 대신 데이터 사용량을 기준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비싼 요금일수록 음성과 데이터양이 비례해서 높아졌지만 앞으로는 2만 원대의 요금제로 음성 통화와 문자는 무제한으로 사용하면서 데이터가 필요한 양에 따라 요금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지게 된다.

30년 역사의 국내 이동통신 요금 패러다임의 대 전환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데이터요금제로의 전환은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통신비 인하의 효과를 줄 것이란 기대를 갖게 만든다.

SK텔레콤의 경우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문자메시지와 유ㆍ무선 음성통화까지 무제한으로 쓸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택배, 대리운전 기사 등 통화나 문자메시지 사용이 많은 계층을 중심으로 약 300만명이 혜택을 보고 7000억원 이상의 통신비가 절감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모바일 기반 게임과 쇼핑 등이 많이 출현해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스마트폰이 도입된 이후 통신요금은 가계에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단통법 시행으로 가격인하를 기대했지만 단말기 가격을 합산한 요금체제는 더욱 복잡해졌고, 업체들의 영업이익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지난 1분기 이동통신사들은 이미 수천 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정부는 이통사들의 요금체계 개편이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방침에 부응한 결과라고 생색을 내는 모양새다. 하지만 이통사들의 데이터요금제 도입은 세계적인 통신소비의 변화추세를 반영한 결과에 불과하다.

통신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도 이제 달라질 때가 됐다. 통신비를 2만원 대로 낮춰도 우리 국민소득 수준이나 소비자 물가 등을 고려해볼 때 국내 이동통신 요금은 여전히 과도한 수준이다.

미국·일본 등 각국 통신사들이 경쟁을 통해 잇따라 저가 요금제를 내놓고 있다. 하지만 기본요금제 틀에 안주한 국내 통신사는 서로 눈치 보며 적당히 끼워맞추는 요금 체계를 유지하면서 소비자 부담을 외면하고 있다.

정부는 보다 현실적인 통신 정책을 강구해 통신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이끄는 것이 소비자는 물론 통신사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