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메르스 공포가 전국을 덮친 가운데 자연 재앙 중 하나인 가뭄 위기가 눈앞에 닥쳤다.

한차례 비가 뿌려졌지만 해갈에는 턱없이 부족했고 장마전선은 주중에 북상했다가 잠시 머문 뒤 주말에 한반도를 빠져나간다고 한다. 극심한 가뭄지역인 중부내륙을 빼놓고 지나간다니 이번 가뭄사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중부 내륙을 중심으로 논바닥이 쩍쩍 갈라지고 소양강댐과 충주댐이 역대 최저 수위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가뭄은 태평양 적도 부근을 중심으로 발생한 엘니뇨현상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태국, 필리핀 등이 가뭄을 호소하고 있고, 인도 남부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었다고 한다. 북한도 모내기 논의 30%가 피해를 입었다. 단순한 기상이변으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한반도는 2010년 이후 거의 매년 피해가 날 정도로 가뭄이 잦아졌다. 38년 주기설, 124년 주기설, 혹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어쨌거나 가뭄이 일상화한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가뭄 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얘기다.

이미 우리나라는 유엔이 분류한 물 부족 국가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우리나라의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2% 정도다.

물부족 국가임을 자각하고 물 아껴쓰기 생활캠페인 전개도 필요한 시점이다.

물은 지속적인 경제발전뿐 아니라 당장의 생존을 위해서도 필수 자원이다. 가뭄이 새로운 위험요인으로 떠올랐으니, 일시적 처방이 아니라 후세대까지 시야를 넓힌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종합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모든 자연재해를 피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메르스 사태로 인해 악화한 민심을 잡기 위해서라도 정치권은 하루빨리 가뭄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메르스 사태에 총력 대응해야 하는 정부의 처지를 이해하지만 가뭄 피해에도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눈앞의 가뭄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단기 대책을 추진해야 하지만 더불어 장기적인 기후변화 적응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당장은 지하수를 긴급 개발해 메마른 농지를 적셔야 한다. 남한강과 북한강의 여러 댐을 연계 운영해 부족한 물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시기를 놓치면 서민 고통만 커진다. 정치권과 정부는 하루빨리 실효성 있는 가뭄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