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청년 실업이 심각한 수준을 보이는 등 구직시장의 구조적 모순까지 겹치면서 최악의 위기로 치닫는 중이다.

올해 청년실업 수준은 지난해보다 0.1% 상승한 4.6%를 기록했다. 이는 5년만에 최고치를 달성한 수치지만 더 심각한 문제는 취업자와 잠재적 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한 체감 실업률이 전달보다 0.6%포인트 높은 12.5%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또한 외환위기 여파가 한창이던 지난 1999년 7월(11.5%) 이후 최고치다. 청년 실업 문제가 외환위기 당시의 비상 상태로 악화되면서 나아질 기미가 현재까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청년실업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지만 최근 몇년간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상황이 유난히 심각하다. 201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청년(15∼29세) 실업률이 8.0%인데, 30∼54세(2.16%)와 비교해 3.7배 수준이라고 한다.

이제 청년실업은 큰 사회문제이자 우리 사회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 할 수 있다. 청년실업이 장기화 될수록 우리 경제와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국가적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 직전 선거운동 과정에서 고용률 70% 달성이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그러나 이 공약은 출범 3년차에도 청년실업 완화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어 우려스럽다.

또한 정부는 청년고용 대책을 정책의 최우선에 두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으나 청년취업 상황은 계속 나빠졌다.

고용절벽에 대비해 당장 손에 잡히는 일자리도 만들어야 하고 중장기적으로 고용환경까지 개선해야 하는 게 정부의 몫이다. 현재의 위기를 의식하고 어떻게든 구체적이고 현실성있는 방안을 제시해 청년고용에 집중해야 한다.

이대로 청년실업을 방치할 경우 한국경제의 건전성과 사회의 진보를 해치게 된다. 미래를 짊어질 청년들의 좌절은 결국 이 나라의 좌절로 이어지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