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미국의 금리인상 소식이 전세계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16일(현지시간)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워싱턴D.C. 본부에서 진행된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재의 0.00%∼0.25%에서 0.25%∼0.50%로 0.25% 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06년 6월 이후 9년 6개월만의 첫 기준금리 인상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이슈로 이미 한국 주식시장은 1920선까지 급락했다.

미국의 경기 회복과 물가하락에도 고용지표 등이 호조되면서 점차 미국의 통화정책에 고삐를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유가가 배럴당 30달러 선으로 하락을 지속되면서 미국의 금리 영향에 신흥국과 원유국 등이 위험해 처할 수 있어서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금리 인상 결정에 대해서는 예상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의 (연준)행보가 관심인데 일단 시장이 안정적이다"면서도 "그래도 변수가 많기 때문에 유가 등에 계속 눈을 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국내 구조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내부 문제로 크게 변할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우리 여건을 보면 외채 구조가 단기에서 중장기로 가고 있고 차입보다는 채권발행으로 가는 등 안정적이다"며 "다만 미국 금리 인상 그 자체보다는 다른 것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우리 시장에서 보이는 안정성) 기한이 얼마다, 라고 얘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으로부터 선진국 자금이 유출되는 것이 가장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증권시장은 물론 외환시장의 불안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 금리가 올라가게 된다면 가계부채도 덩달아 올라가기 마련이다. 현재 우리나라 부채 규모는 1200조원에 육박하고 있어 여전히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와 불안 속에서 우리나라는 미래 위험에 대비하는 대응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