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전국이 미분양주택이 불과 한 달 전보다 무려 5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지고 있다.

올 들어 11월까지 분양된 물량은 총 49만3000가구로 이전 5년(2010~2014년) 평균의 1.8배나 된다.

KDI는 중장기(2013~2022년) 주택 수요를 연평균 27만가구로 보고 있으니 초과 물량이 대량으로 쏟아진 것이다.

이는 종전의 미분양 최고 기록이었던 2003년 12월의 36%를 경신한 사상 최대 증가율이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전체의 70.6%를 차지했다.

연말에 갑자기 미분양이 급증한 것은 분양 물량이 쏟아진 데서 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10월과 11월의 분양 물량은 15만7천채로 11월까지 총분양 물량의 30%를 넘었다.

공급이 이렇게 많았던데다, 미국 금리 인상 추이를 관망하자는 심리가 퍼진 것도 미분양을 늘린 원인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미분양은 다 이유가 있는데 입지가 좋지 않거나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비싼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문제는 미국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의 악재가 잇달아 터져 나오면서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냉각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올해 분양물량이 본격적인 입주를 시작하는 2017년 이후 미분양, 미입주, 역전세난 등의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미분양 사태가 이렇게 심각한데도 차기 유일호 경제팀의 인식은 너무 안이하다. 아파트 공급 규모가 과잉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유 경제부총리 후보자가 경제정책 총괄 경험이 없다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도저히 납득되지 않는다. 주택경기는 이미 싸늘한 기운이 감돌고 있는데도 수급에 문제가 없다고 하니 할 말이 없다.

어떻게든 미분양 아파트 적체 해소를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 또한 정부는 건설사들이 분양을 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건축허가, 분양보증 심사 등의 절차를 엄격하게 진행해 공급량을 조절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