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서비스 차별화 지적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시중은행들이 금리·수수료 산정에 대한 금융회사 자율의 폭이 확대되면서 줄줄이 수수료 인상에 시동을 걸고 있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수수료 자율화 방침을 발표한 데 따른 것이지만, 저금리 기조하에서 이자수익이 감소하자 비이자부문의 수익을 늘리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만큼 은행 이용자의 부담은 늘어나게 된다.

벌써 수차례 수수료를 조금씩 올린데 이어 또다시 인상에 나서고 있어 서민들의 속사정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등 시중은행 여러 곳은 이미 수수료를 올리기로 결정했거나 인상하는 것을 고려 중이다.

신한은행은 송금 수수료와 이체 수수료가 인상된다는 예정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게시문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신한은행 영업점 창구에서 1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 금액을 다른 은행으로 보내려면 기존 대비 두 배 많은 2000원을 내야 한다. 또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서 10만원 이상 금액을 이체할 때도 기존 800원보다 25% 많은 1000원의 수수료를 부과 받게 된다.

자주 이용하는 현금인출 수수료는 은행 마감시간 뒤에 다른 은행 현금 인출기를 이용할 경우, 1200원까지 물리고 있다. 은행 창구에서 다른 은행으로 1만원을 보낼 때 최고 3천원까지 수수료를 물리는 은행도 있다.

이처럼 금융권이 수수료 인상을 논할 자격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금융권의 고액 연봉 잔치는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금융지주사 회장 연봉이 30억원을 넘는 곳도 있다. 수익구조가 걱정이라면 최소한 비합리적인 임금구조부터 바로잡는 게 순리일 터다.

그간 우리의 은행들은 부실대출등 방만한 경영으로 외환위기 과정을 거치면서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등 진통을 겪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외환위기 이후 은행들이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수익위주의 경영으로 전환하면서 서민들은 자꾸 찬밥신세가 되고 있다.

물론 은행도 수익을 추구하므로 서비스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수수료 인상이 너무 잦고 인상 폭 역시 크다는 점이다.

은행들이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일제히 인상하는 속내를 들여다보면 여러 고객이 조금씩만 더 부담하면 은행의 전체 수익성 제고에 절대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얄팍한 상혼이 깔려있음이 짐작간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같은 금융소비자와 은행간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수수료 자율화가 이뤄지는 만큼 은행서비스도 차별화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