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함께 추락하는 형국

[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소비자물가가 다시 석달만에 0%대로 추락했다.

경기 부진에다 물가 하락세가 지속돼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비관적인 경기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경기 활성화 정책 효과는 미진하고 소비자는 지갑을 열지 않고 있다. 아직 소비를 할 때가 아니라는 불안감이 남아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재작년 12월부터 11개월째 0%대를 이어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1%, 12월에는 1.3%를 기록했지만 이번에 다시 0%대로 밀렸다.

담뱃값 인상 효과가 사라진데다 석유류 제품이 1년 전보다 10.3% 하락하며 전체 물가상승률을 0.43%포인트 하향조정했다.

또한 농산품과 석유류를 뺀 근원물가 상승률도 13개월 만에 1%대로 떨어져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설핏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지금의 저물가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물가도 함께 추락하는 형국이다.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시장 전체의 심각한 불황을 초래하는 '디플레이션'에 가깝다.

이처럼 디플레이션 우려가 대두되는 것은 내수가 부진하기 때문이다. 물가가 하락할 정도로 소비가 위축되면 기업 이익이 감소해 투자 및 인건비 축소와 실업률 상승 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진다.

침체가 심해지는 도산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도 폭락한다. 기업과 가계가 허약해지면 금융기관도 부실해진다. 그래서 디플레이션 우려감에 국민이 바짝 긴장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많은 골든타임을 놓쳐 신뢰를 잃었다. 세월호 침몰 때도 그랬고 메르스 확산에도 정부의 뒷북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

이제는 뒷북대응보다 선제적이고 철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정부는 디플레이션 논란이 일 정도로 경제의 활력이 떨어져 있는 상황임을 바로 알고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