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유승하 기자]우울증 진단을 받은 직장인 10명중 7명은 병가를 낼 수 없었고 내더라도 사유서에 우울증이라고 적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영훈 인제의대 교수(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와 홍진표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은 18세 이상 64세 이하 직장인 1000명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대상 직장인 1000명 중 7.4%(74명)가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2011년 정신건강실태조사에서의 한국인 우울증 평생 유병률과 같은 수치다.

하지만 우울증 진단 후 병가를 신청한 사람은 73명중 23명(31%)뿐이었으며 평균 병가 기간은 9.8일이었다.

반면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7개국의 경우 51%가 병가를 신청했으며 평균 병가 기간은 35.9일이었다.

우울증에 대한 인식 문제도 드러났다. 한국의 직장인 우울증 환자들은 병가를 낼 때 84명중 23명(34%)만 휴가신청 사유로 우울증을 적어서 제출했고 다른 사람들은 다른 이유를 대는 등 거짓말로 제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울증으로 인한 병가임을 적지 않는 이유를 설문조사(복수응답) 한 결과 우울증인 것이 밝혀지면 직장생활이 어려워질 것 같다는 응답이 75%, 말해도 이해받기 어려울 것 같다는 응답이 63%였다. '개인적인 이유이기 때문에 비밀로 하고 싶어서'라는 답변도 75%에 달했다.

직장 동료 중 하나가 우울증이 있다고 인지했을 때 어떻게 행동했는지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 212명 중 65명(30.2%)가 '우울증에 대한 대화를 회피하겠다'고 답했다. '도움을 제안하겠다'는 답은 28.8%로 두번째로 많았으나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도 28.8%로 같은 비율이었다.

김영훈 교수는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직장인은 의욕·집중력 저하, 피로감 등으로 인해 단순한 업무 처리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직장 분위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의사 결정 과정에서 머뭇거리거나 실수할 가능성도 커져 회사는 물론 나아가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연구결과 우울증을 진단을 받은 뒤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들 상당수가 업무에 지장을 줄 만큼 인지기능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7.4%의 환자가 집중력 저하증세를 보였고 27.8%는 업무를 계획적으로 진행할 수 없었다. 25.9%는 의사결정능력에 문제가 있었고 13%는 건망증 증상을 보였다.

홍진표 교수는 "무엇보다 우울증으로 진단받고 직무수행이 힘들면 눈치 보지 않고 병가를 내거나 결근을 할 수 있는 직장 내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에서는 우울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이 우울증 치료와 관리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더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적절한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