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同盟圈 외교 단초 마련.. 冷戰 우위 견인


65년 비동맹회의에 참석한 김일성(왼쪽에서 두 번째)과 김정일(맨 오른쪽)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전경련(全經聯)은 경제뿐만 아니라 외교 측면에서도 놀라운 성과를 보였다.

1971년 9월 22일, 김용완 당시 전경련 회장을 단장(團長)으로 한 통상사절단 19명이 오스트리아 빈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10월 11~15일 간 열리는 'SRI비엔나회의' 참석을 위해서였다.

이 회의 참석은 여러모로 의의가 컸다. 건국(建國) 이래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공산권(共産圈)과 접촉하는 자리였기 때문이다.

귀로(歸路)길에 이뤄진 유고슬라비아연방공화국 방문은 우리나라가 '제3세계' 즉 비동맹권(非同盟圈. NAM)과의 관계를 격상시키는 큰 계기가 됐다. 비동맹권은 미국·소련 중 어느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은 국가들의 연합체다.

1945년 11월 공산당 주도로 연방인민공화국을 건국한 유고는 비동맹권의 맹주(盟主) 역할을 하는 국가였다. 모든 공산국가에 대한 통제를 높이는 소련에 반발해 독자노선을 추구한 유고의 비동맹권 내 입지는 매우 높았다.

올 9월 기준으로 120개 회원국, 17개 옵서버국을 보유한 비동맹권의 국제사회에서의 입김을 보여주는 사건은 62년 10월 14일 발생한 '쿠바 미사일 사태'다.

대미(對美) 핵공격을 위해 쿠바에 몰래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던 소련은 미 공군 U-2 고공정찰기에 의해 음모가 발각되었음에도 계획을 강행한다. 이에 케네디 행정부는 선제공격을 통해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제라도 핵전쟁이 벌어질 수 있는 일촉즉발(一觸卽發)의 사태를 마무리시킨 것은 비동맹권이었다. 비동맹권은 흐루시초프 정부와의 물밑협상을 통해 강행 시 일체의 외교관계를 단절시키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과의 냉전(冷戰)에서 공산권 확장을 위해 비동맹권 지지를 얻어야만 하는 처지였던 소련은 결국 동년 10월 28일 모든 미사일 철수를 명령했다. 또 군사장비를 실은 쿠바행 선단 회항(回航)을 명령했다.


75년 한국을 찾은 오마르 봉고(Omar Bongo) 가봉 대통령(왼쪽에서 두 번째)과 박정희 대통령(그 오른쪽). 박근혜 대통령(맨 왼쪽) 모습도 보인다.


전경련 등의 유고 방문 이후 한국과 비동맹권 간 교류는 본격화된다. 유고 기업가인 보고다노비치가 71년 10월 26일 한국에 첫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97년 우리나라가 비동맹회의 게스트 자격으로 참가하는데 까지 이르게 된다.

올 9월에는 북한 5차 핵실험을 두고 비동맹권 국가들이 북한 비판 성명에 동참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한국-비동맹권 교류 역사에서 가장 의미 깊었던 사건 중 하나가 가봉 대통령 오마르 봉고의 75년 방한(訪韓)이었다.

당시 국제사회 지지권 획득을 두고 경쟁하던 남북(南北)은 봉고 대통령 방문을 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펼치고 있었다.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62년 한국과 수교한 가봉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잃어서는 안 될 비동맹권의 주요 파트너였다. 그런 가봉과 한국 간 관계를 해치기 위해 북한은 수많은 훼방공작을 펼치고 있었다.

북한은 다양한 카드를 제시하면서 봉고 대통령이 평양을 먼저 방문해줄 것을 요구했다. 봉고 대통령 동상을 무상(無償)으로 지어준 것도 북한이었다.

박정희 정부는 이에 맞서 김종필 당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국빈(國賓)영접 방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십만 환영인파를 자원받는 등 총력을 다했다. 기아자동차는 신형 승합차에 '봉고'라는 이름을 붙였다.

결국 봉고 대통령이 손을 들어준 곳은 한국이었다. 평양에 앞서 서울을 방문해 3박4일간 순방한 봉고 대통령은 환대에 감동 받아 방일(訪日) 일정이 끝나자마자 다시 한국을 찾았다.

반면 북한은 체면을 제대로 구겼다. 봉고 대통령은 이후 10년 주기로 한국을 찾으면서 북한의 기를 눌렀다. 전경련 등의 대(對) 비동맹권 외교 노력이 없었다면 애초에 불가능했을 성과였다.

<계속>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