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 지명자 잇따라 '공조' 강조.. "칼날 유럽으로" 전망도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블루컬러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내수시장 활성 및 대외지출 최소화를 어필하기 위해 '주한미군 철수'를 언급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이를 사실상 철회했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지명자는 12일 상원 군사위 인준청문회에서 "주한미군 철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북한 핵·미사일 개발 저지를 위해 "한국, 일본 등과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11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지명자도 "미국은 대북 독자제재와 유엔 제재 이행에 실패했다"며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 공조하면서 중국에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 지명자도 북한, 중국, 러시아를 미국의 가장 큰 위협으로 지목하면서 한국과의 연대 의사를 강하게 피력했다.

트럼프 내각 지명자들이 잇따라 대북 강경발언을 내놓으면서 주한미군 철수는 커녕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를 뛰어넘는 초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후보 시절 "김정은과 햄버거를 먹으면서 대화할 것"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 부결 시 주한미군 철수" 등 발언을 해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오는 20일 워싱턴에서 취임할 예정이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취임식 때 축전을 보내는 한편 전화회담을 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 측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안까지 철회한 것은 아니다. 매티스 국방장관 내정자는 청문회에서 "우리 동맹과 파트너들도 방위조약 의무를 다하길 바란다"며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최근 미국을 방문한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은 방위비 인상 칼날이 한일이 아닌 유럽으로 향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현재 영국, 독일, 이탈이아, 터키 등에는 미군이 주둔 중이다. 독일의 경우 한일미군을 뛰어넘는 약 7만 명 규모다.

북한의 잇따른 핵·미사일 도발, 중국의 'G2' 진입, 중국·러시아의 군사동맹 앞에 미국은 아시아·태평양중시정책(리밸런스)으로 돌아서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