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물론 베이징 核공격 가능성 우려 "전쟁 시 국경 위협"


리위안차오(李源潮) 중국 국가부주석(오른쪽)과 김정은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북한을 계륵(鷄肋. 쓸모 없지만 버리긴 아까운 존재)으로 여기는 중국이 북한을 '가상적국'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30일 일본 교도(共同)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인민해방군 작전전문가가 군사훈련과 관련해 작성한 문서를 입수해 이같이 전했다.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북한이 언급됐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문서는 작년 5월 발행된 가상적국에 대비한 전시 훈련 가이드라인이다. 이 중 정세분석에서 '5가지 잠재적 위협'으로 아시아중시전략(리밸런스)을 추진하는 미국을 가장 먼저 언급했다.

뒤이어 핵보유를 추진하는 북한을 명시했다. "핵보유국을 선언하고 많은 핵시설을 북중(北中) 국경에 설치해 중국을 인질화하고 있다. 일단 전쟁이 발발하면 중국 동북·화북지방에 거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가상적국 세 번째는 센카쿠(尖閣)제도 영유권을 두고 다투는 일본, 네 번째는 남중국해 영유권을 두고 대립하는 베트남·필리핀, 다섯 번째는 국경분쟁을 겪는 인도를 선정했다.

97년 망명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에 따르면 북중 관계는 70~80년대 중국의 북한 혈통세습 중단, 개혁개방 수용 요구로 틀어지기 시작했다. 수시로 지원을 요구하는 2천만 인구의 북한은 중국에게 큰 부담이었다.

이러한 북중 관계는 90년대 초 한중(韓中)수교로 사실상 파탄을 맞았다.

황 전 비서 표현에 따르면 "북한 지도부가 가장 증오하는 게 중국 지도부, 중국 지도부가 가장 경멸하는 게 북한 지도부"였다. 북한의 미국 수교 노력도 중국을 자극했다.

그러나 미국에 맞서 세계 패권을 쟁탈하려는 중국에게 북한은 지리적으로 필수적이었다. 북한은 미국의 정치군사적 침입을 막는 보루이자 태평양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진기지이기도 했다.

때문에 중국은 '울며 겨자먹기'로 대북(對北)지원을 중단하지 않았다. 국제사회를 의식해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에 동참했지만 몰래 석유, 식량을 공급했다. 같은 '독재국가'라는 공통점도 관계 유지의 끈이 됐다.

북한은 이를 이용해 중국 '등골'을 빼먹으면서 핵개발을 지속했다. 중국은 북한에 관여한 자국 기업인 처벌 등 수시로 제동을 걸려 했으나 북한은 '미국과의 수교'를 카드로 내밀면서 중국을 위협했다.

북한의 최종목표는 주체사상으로 대표되는 독자노선이다. 북한은 마오쩌둥(毛澤東) 및 스탈린 사후 중국·러시아에 몰아닥친 소위 '수정주의' 즉 '반(反) 1인 독재' 운동 당시부터 독자노선을 추구했다.

때문에 핵탄두 소형화, 탄두 대기권 재돌입 기술 확보 등 북한 핵개발이 완료될 경우 서울, 도쿄(東京), 로스앤젤레스는 물론 베이징(北京)도 충분히 북핵 공격대상이 될 수 있다. 중국은 이 점을 우려하고 있다.

북한은 탈(脫)중국을 위해 미국과의 '평화협정' 체결에 매진하는 한편 실패를 대비해 김정은 집권 후 러시아에 크게 기대기 시작했다.

푸틴 대통령 1인 독재가 실시되는 러시아는 '대미(對美) 선봉'이 되는 조건으로 북한을 돕고 있다.

러시아는 미국이라는 '공통의 적' 앞에 중국과 군사동맹 관계이지만 '맹주' 자리를 두고 물밑에서 다투고 있다. 러시아는 폭주하는 북한을 앞세워 미국은 물론 중국까지 위협하면서 '구소련 영광'을 부활시킨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