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적고 이용 불편에 정부 지원도 소비자 반감 키워

[투데이코리아=최고운 기자] 전통시장이 제자리 걸음이다. 역대 정부 출범 초기마다 되풀이 되어 온 전통시장 활성화는 밑빠진 독에 물붓기로 끝날 공산이 크다. 지난 10년간 2조원을 쏟아 부었는데 효과는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마디로 전통시장이 위기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유통 채널의 변화에 고객이 요구하는 환경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지속된 경기침체로 내수위축마저 겹친 탓에 연중 가장 큰 대목이었던 설 명절 기간에도 전통시장은 소비자들한테 외면당했다.

퇴락하고 있는 전통시장 경쟁력 문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시장 상인들의 생존권이 달린 '전통시장 활성화'는 역대 정부마다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한 정책이며, 최근 유력 대선주자들도 잇달아 전통시장을 방문, 한목소리로 "전통시장을 꼭 살리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전통시장을 거의 이용하지 않고 대형마트의 편리함에 익숙한 비교적 젊은 소비자들은 이같은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지원 등에 대해 불편함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해 말 산업연구원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대형유통업체(SSM포함)를 '생필품 및 식재료'의 주된 구입 경로로 응답한 비율이 63.4%, 개인 중·소형 슈퍼마켓이 22.3% 였으며, 전통시장을 선택한 비율은 10.6%에 불과했다. 또 응답자의 86.2%는 전통시장의 주차공간, 매장 공간배치, 친절함, 청결함 등과 같은 전반적인 이용 편의에 대형마트에 비해 불편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같은 구매패턴 속에 현행 월 2회의 대형마트 강제 휴무규제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다. 게다가 과거 전통시장에서의 불쾌했던 소비 경험들을 떠올리며 '시장 자율'에 맡기라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통시장 지원에도 불구, 전통 시장의 매출액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그동안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과 지원 효과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았던 점도 전통시장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에 일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청 자료에 따르면 전통시장에 대한 정책 지원은 지난 2008년 글로벌금융 위기를 전후로 강화되면서 관련 예산도 매년 2000억원 전후로 집행됐다. 전통시장 부문은 시설현대화 등 하드웨어 지원과 시장경영혁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지원 예산으로 크게 나누어져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전통시장과 지역관광을 결합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 위한 문화관광형시장사업단을 전국 73 곳을 선정해 적극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점진적인 효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15년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및 주차환경개선 예산은 891억원에서 지난해 1809억원으로 2배이상 늘었고, 시장경영혁신 관련 예산은 1108억원에서 1402억원으로 증가했다.

이 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조사 결과와 추정에 따르면 전통시장의 매출액은 지난 2005년 32조7000원 에서 2013년 20조7000원으로 8년 사이에 63.3%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매출액을 시장당, 점포당, 종사자당으로 나누어 살펴보아도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통시장 활성화에 대한 장기적 정책 노력이 조금은 성과를 보였다고 보여지는 대목도 있다. 지난 2014년 들어 전통시장의 매출액은 2013년에 비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 증가액은 2000억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1.0% 증가에 불과하지만 2006년부터 지속되어 온 매출액의 감소세가 반전된 점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