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창석 기자] 제주항공이 지난 2011년 원전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에 전세기를 운항하기로 결정하자 환경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3일 "가습기 살균제 참사에 책임이 있는 애경그룹은 계열사 제주항공의 후쿠시마 운항계획을 취소하라"며 성명서를 발표했다. 시민센터는 방사능 오염과 안전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제주항공은 일부 직원들의 반발에도 후쿠시마 운항을 강행키로 했다.


제주항공은 다음달 18일 새벽 0시 후쿠시마 공항에서 승객들을 태워서 인천으로 들어오고 이틀 뒤 반대로 나가는 부정기편 전세기로 일본인 관광객을 실어나를 계획을 세웠다.

전세기를 요청한 현지 여행사와 후쿠시마 관광청은 제주항공을 통해 2박3일간 서울을 관광할 수 있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고 있다.

이 때문에 제주항공 승무원들 사이에서 방사성 물질 노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내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제주항공을 이용하기에 좀 꺼림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민센터는 "후쿠시마의 방사능 오염과 후유증은 해결되기는커녕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 9일 도쿄전력은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발전소 2호기 원자로에서 시간당 650Sv(시버트)의 방사능을 측정했는데, 이는 핵 참사 발생 이듬해인 2012년의 측정치 73Sv의 9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라고 밝혔다.

논란이 일자 제주항공은 "후쿠시마보다 오히려 서울의 방사능 오염수치가 더 높다" 며 "후쿠시마 운항에는 하등의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민센터는 "제주항공은 방사선량에 큰 차이가 없고 안전한 수치라고 해명했으나, 한 번의 측정값으로 비교해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며 "더욱이 공항은 후쿠시마 제1원전으로부터 불과 56km 떨어진 곳에 있어 결코 안전한 위치라고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시민센터는 "제주항공을 소유한 애경그룹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주범 기업 중 하나인데, 또다시 소비자와 시민 안전을 도외시하는 반환경적 기업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강한 우려를 드러냈다.


애경그룹은 1994년 SK와 1995년 옥시에 이어 1997년 세 번째로 가습기 살균제를 개발해 1999년까지 7만5000여 개를 판매했다.

시민센터는 "애경은 자사 살균제 성분의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해자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들은 이런 애경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시작했다.


한편 제주항공이 일본 후쿠시마 항로 부정기편 운항 계획을 확정해 방사능 노출이 우려된다는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제주 시민사회단체들이 “노동자의 건강과 국민안전을 내팽개쳤다”고 규탄했다.


제주도내 9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탈핵도민행동은 22일 성명을 내고 “승무원들의 건강은 물론 항공기 오염 등으로 국민안전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탈핵행동은 “후쿠시마는 지난 2011년 핵발전소 사고가 있던 지역이다.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와 같은 7등급”이라며 “방사능 물질이 대량으로 유출되고, 심각한 생태계 악영향이 발생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고 지역에서 약 57km 떨어진 곳에 후쿠시마 공항이 있다. 또 후쿠시마를 벗어난 다른 지역까지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제주항공은 후쿠시마보다 서울의 방사능 수치가 높다고 괴변을 펼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탈핵행동은 “방사능 수치를 떠나서 해당 지역에 건강에 위해한 방사성 물질이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해당지역은 공기 중에 방사능 위해물질이 포함돼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 분류된다”고 주장했다.


또 “단기체류가 바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하진 않지만, 체내로 유입될 경우 내부피폭 등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피폭량과 암 발생량이 정비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체내 방사성 물질 축적을 고려하면 극소량이라도 인체에 유해하다”고 강조했다.


탈핵행동은 “제주항공의 후쿠시마 운항 결정은 승무원의 건강과 노동권을 유린한 행동이다. 2차 피해 발생 우려가 존재하는 만큼 국민안전과도 직결되는 문제”라며 “제주항공은 운항계획을 철회하고,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제주도 제주항공 주주인 만큼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제주지역 국회의원들도 이 문제를 방관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