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역사 알리기 앞장서지만 독과점 현실 간과했다는 비판도

▲ 지난 주말(28일부터 30일) 동안 서울과 경기 지역 극장에서 류승완 감독과 배우들이 무대인사를 진행했다.

[투데이코리아=노철중 기자]영화 ‘군함도’가 스크린 수 2000개 이상을 장악하면서 개봉 첫 번째 주 406만 관객을 동원한 가운데 영화 내외로 이슈를 만들어내면서 하반기 한국영화의 최대 문제작으로 떠오르고 있다.


‘군함도’는 일본 나가사키의 탄광섬 하시마(군함도)에 조선인들이 강제징용 돼 희생됐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대규모 탈출 스토리를 창조해냈다.


일본은 가장 민감해 하는 시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영화를 주목했다. 제작보고회 현장에 일본 유력 일간지 기자가 직접 찾아와 개봉 후 논란이 일 것이라는 우려 섞인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류승완 감독은 논란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영화가 상영되고 나서 더 많은 사람들이 군함도에 대해서 알길 바란다”는 희망에 방점을 뒀었다.


뚜껑을 열어보니 일본의 보수 정부와 언론에서는 ‘날조된 역사’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이에 우리 정부도 “군함도에서 우리 국민들이 강제 노역을 하면서 인권을 유린당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류승완 감독은 이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지난 28일 발표된 입장문에서 류 감독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증언과 자료집을 참고 했다”면서 “군함도는 실제 있었던 역사를 모티브로 해 만들어진 창작물”임을 강조했다.


이어 “(영화를 통해)당시 조선인 강제징용의 참상과 일제의 만행, 그리고 일제에 기생했던 친일파들의 반인륜적인 행위를 다루고자 했다. '대탈출'이라는 콘셉트로 피해자들의 한을 풀어보고 싶었다”면서 “조선인 강제 징용에 대한 일본의 역사인식은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것 같아 안타깝고 분노가 치민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 영화 '군함도' 해외 포스터.


한편, 군함도는 일본의 근대 산업 발전을 상징하는 섬으로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제됐다. 당시 주변국들의 반발을 샀고 일본은 강제 징용 사실을 알리기로 약속지만 이는 현재까지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말동안 이어진 무대인사 현장에서 류승완 감독은 “여러분이 군함도를 보시고 일제 강점기 우리가 겪은 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 지금껏 계속 앞으로 나아갔으니 좀 더 나은 세상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여러분과 어깨동부하고 앞으로 한걸음 내닫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으로 군함도 측은 28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의 ‘메트로폴리탄 필름엑스포트’ 본사에서 ‘유네스코/주불 외교관 특별시사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메트로폴리탄 필름엑스포트는 영화 군삼도의 프랑스 배급사다.


군함도 관계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군함도의 숨겨진 역사를 대한민국 국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유네스코 본부가 있는 프랑스 파리에서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며 “강제징용 등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려야 한다는 유네스코 권고사항을 일본이 이행하고 있지 않는 것에 대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 지난 25일 CGV 여의도에서 주한 외교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사회가 열리기도 했다.


영화 ‘군함도’는 7월까지 155개국에 판매됐다. 유럽, 남미, 북미 지역 등 세계 곳곳에서 상영 될 예정이며 태국, 미얀마, 인도네시아, 홍콩, 호주, 뉴질랜드, 영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대만, 베트남, 필리핀 등은 8월 개봉이 확정됐다.


이런 가운데 영화 내적으로도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우선은 영화 속에서 묘사된 친일 조선인의 모습에 대한 것이다. 일본군이 조선인들에게 행하는 악의 묘사에 비해 친일 행위를 하는 조선인의 악랄한 행위가 두드러지는 게 사실이다.


또 다른 논란은 독과점 문제다. 개봉 첫 날 스크린 수는 2168개를 기록했다. 개봉 당일 2000개를 넘은 것은 군함도가 최초라는 지적이다.


역사 문제를 지적하는 영화가 독과점이란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눈을 감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키워드

#군함도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