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협력 개념도(사진=국토교통부 제공)

[투데이코리아=정현민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시험도로에서 자율주행차가 위험 상황을 스스로 극복하는 7가지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2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날 시연에는 국내 연구진과 미국 교통부, 유럽 도로교통 텔레메틱스 추진기구(ERTICO, 유럽의 지능형교통체계 연구·감독기관) 등 주요 선진국의 정부·업계 담당자도 참석했다.


기존의 자율주행은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감지기(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를 기반으로 주변상황을 인식하지만, 먼 거리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감지기가 인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자율주행차에 있어 감지기란 인간의 눈·귀와 같은 중요한 인식기관으로, 감지기가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완벽한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어렵다.


국토부 관계자는 "감지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로 인프라(V2I) 혹은 다른 자동차(V2V)에서 정보를 받아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방향전환, 감속하는 것이 자율협력주행 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연행사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최대 80km/h의 속도로 주행하다 감지기가 인식하기 어려운 7가지 상황을 가정해 차로변경(회피) 또는 감속하는 기술을 보였다.


차로변경(회피)하는 상황은 △전방에 작업구간이 있는 경우 △후미등이 보이지 않는 전전방 자동차가 급정거하는 경우 △전방에 고장 자동차(장애물)가 서 있는 경우다.


감속하는 상황은 △우측 사각지대에서 다른 자동차가 진입하는 경우 △앞 쪽 도로가 얼어있는 경우 △주행차로가 줄어드는 경우(이후 차로변경) △다른 자동차가 갑자기 끼어드는 경우였다.


국토부는 이번 시연이 폐쇄된 도로인 여주시험도로에서 진행됐지만, 연구가 완료되는 2020년에는 일반도로에서 자율협력주행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또 교통흐름을 최적화하고 교통사고와 교통체증이 없는 도로를 만들어 누구나 필요할 때 자동차를 호출해 사용할 수 있는 수요자 맞춤형 교통시스템을 도입할 전망이다.


김현미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산업·기술 간의 융·복합이며 자율협력주행 기술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며 "자동차에 장착된 감지기의 한계를 인프라가 보완함으로써 자율주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