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태규 위안부합의문제TF 위원장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권규홍 기자] 27일 3시 외교부 청사에서는 위안부 문제 합의 TF의 브리핑이 있었다. 강경화 장관은 브리핑에 앞서 "위안부 합의 문제에 관해 제기되어온 비판들에 진지하고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2015년 당시 피해자들의 의사도 없이 진행된 합의에 대해 당사자인 피해자 할머니와 가족들에게 상처를 드린점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사과드린다"며 브리핑을 시작했다.

강 장관은 이어 "위안부 문제가 얼마나 문제인지 다시 상기한다. 위안부 문제는 다른 외교 사안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당사자인 피해자들이 생존해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의사가 반영 되어야 한다. 이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것이 마땅한 국가적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강 장관은 "위안부 문제와 아울러 이번 기회로 한일관계에 대한 외교 전략을 전반적으로 다시 수립할것이다"라며 마이크를 오태규 위안부합의문제 TF 위원장에게 넘겼다.


마이크를 넘겨받은 오 위원장은 "지난 정부의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협상 과정에서 한국 측이 민간단체의 소녀상 이전 문제 등에 관여하겠다고 약속한 것이 사실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내용은 2년 동안 공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시 문제가 되었던 '불가역적'이라는 표현 역시 박근혜 정부 외교부에서 먼저 제의한 표현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이어 오 위원장은 "양국 외교부 고위급은 8차례 정도 비공개 회담을 가졌으며, 당시 언급된 내용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피해자 관련 설득,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 제3국 기림비 지원 문제, '성노예' 용어 사용 문제 등"에 대한 이면 합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 부분은 이병기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대표를 맡은 고위급 협의에서도 조율이 이뤄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비공개 부분은 한국 측이 민감한 사항에 대한 일본 측의 요구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정된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당시 한국 측은 "관련 단체 등의 이견 표명이 있을 경우 한국 정부는 설득을 위해 노력함", "(소녀상 이전 문제는)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함", "(제3국 기림비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지원함이 없이 한일 관계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함"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확답한것도 모자라 '성노예' 표현 사용 중단 요구에 관해서는 "공식 명칭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일 뿐"이라며 사실상 수용하는 행태를 취했다고 분석했다.


위안부 TF는 이어 "비공개 언급 내용은 한국 정부가 소녀상을 이전하거나 제3국 기림비를 설치하지 못하게 관여하거나, '성노예'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약속한 것은 아니나, 일본 측이 이 문제에 관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며 당시 한·일 외교당국의 움직임은 거듭 이러한 사실을 감추는 데 급급한 정황을 밝혔다.


당시 외교부는 일본 측의 보도 이후 2시간이 지나서야 "양국 정상은 올해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 타결을 위한 협의를 가속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이 문제의 조기 타결을 위한 협의를 지속해왔다"는 메시지만 내었고 이후 추가 입장을 내지 않았다.


위안부 TF는 "위안부 협상 관련 정책 결정 권한이 지나치게 청와대에 집중돼 있었다. 주무부처인 외교부는 위안부 협상에서 조연이었으며, 핵심 쟁점에 관해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이날 보고서를 외교부 홈페이지를 통해 모두가 읽어볼수 있게 공개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