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어촌 뉴딜사업’ ‘해양치유산업’ 등 올해 본격 추진

▲ 해변가에서 수평선을 바라보며 가족단위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시민들.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신년사에서 5대 정책 중 하나로 ‘연안·어촌지역 활성화’ 방침도 밝혔다. △어촌 뉴딜사업 및 항만재개발을 통한 낙후지역 재창조 △해양산업클러스터 및 해양치유산업 등 신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촌 뉴딜사업, 항만재개발을 위해 해수부는 작년 말부터 기획재정부 제출자료 작성 목적으로 관련 수요조사에 나서고 있다. 조사는 여객선 △기항지 접안시설 확충 △구난·구조 전용 계류시설 설치 △이용자 안전시설 강화 △레저선박 전용 접안시설 설치 △유서 깊은 항·포구 복원 등 5가지 유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인천의 경우 옹진군은 여객선 기항지 접안시설 확충 유형으로 소연평도항에 대한 재개발 추진 필요성을 담은 수요조사 결과를 해수부에 제출했다. 소연평도항은 수심이 낮아 여객선 접안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남동구는 작년 작년 대형화재 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소래포구에 대한 뉴딜사업 추진에 기대를 걸고 있다. 현재 직접적 화재피해를 입은 재래어시장 부지에서 관광객 편의 등을 고려한 현대화사업이 진행 중이다. 구는 현대화사업, 뉴딜사업을 통한 복원사업 추진 시 큰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 관계자는 “소래포구는 연 500만명이 찾는 관광명소로 이에 걸맞은 어촌 뉴딜사업이 진행되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1년까지 3800여명 신규고용, 2천억원 부가가치 창출”


해수부는 지난 4일 부산항 우암부두(17만5931㎡), 전남 광양항 중마부두(28만7883㎡)를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해양산업클러스터는 유휴화된 항만시설에 첨단 해양 신산업을 유치해 새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부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올해 안에 대상지 개발에 대한 기본·실시설계를 완료하고 내년까지 기반시설 설치를 마무리짓는다는 방침이다. 해수부, 부산시, 전남도는 기반시설 설치비 일무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수부 등은 부산항에는 해양레저 기기, 선박·해양플랜트 등 관련 기업을, 광양항에는 해운항만 물류연구개발(R&D) 기업을 각각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 부가가치 제고 등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은 2021년까지 3800여명의 신규고용 창출, 2천억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양치유사업은 해양기후, 해수(海水), 해양생물자원 등을 이용해 신체·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것이 골자다. 해수부는 현재 고려대 해양치유산업연구단과 함께 국내 주요지역의 해양치유 자원발굴 연구를 추진 중이다. 작년 10월에는 해양 치유자원 발굴 및 산업육성 협력 지자체로 경남 고성, 경북 울진, 전남 완도, 충남 태안 등 4곳을 선정했다.


세계 웰니스연구소(GWI)에 의하면 2015년 기준으로 웰니스(Wellness. 신체·정신·사회적 건강 도모 산업) 시장 규모는 약 4천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국내 치유관광은 산림분야에 집중돼 해양치유산업 육성이 시급해지고 있다.


일본은 해양심층수, 해니(骸泥. 플랑크톤 유해로 이뤄진 퇴적물), 해조, 광선, 에어로졸 등을 이용한 해양치유관광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프랑스는 해양요법을 대중치료법으로 활용하며 사회보험으로 지원하고 있다. 독일은 치유휴양지인 쿠어오르트를 운영 중이다.


해양치유사업도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홍장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관광·문화연구실장에 의하면 산림치유지도사 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해양치유사업 유치지역에는 관광객이 몰려 지역경제도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끝>

키워드

#해양수산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