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 설치된 인권현장 바닥동판 총 45개로!

▲ 남영동 대공분실 터와 그곳에 설치된 동판. (사진=서울시 제공)

[투데이코리아=노철중 기자]오는 1월 14일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한 지 31주기가 되는 날이다.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당시 그는 대학교 2학년이었다. 경찰은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황당한 변명으로 고문사실을 은폐하려고 했지만 결국 물고문과 전기고문을 당하다가 숨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모티프로 해 최근에 개봉한 영화 <1987>은 12일 현재 누적관객 수 470만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직접 광장에 있었던 당사자들이 영화인으로서 영화에 출연하기도 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서울시는 故 박종철 열사의 31주기를 맞아 ‘남영동 대공분실 터’에 인권현장 바닥동판을 설치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건물 외부 출입구 근처 바닥에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 형태(가로·세로 35cm)로 설치됐다. 남영동 대공분실(지하철 1호선 남영역 인근)은 박종철 열사와 민주화운동의 거목으로 불리는 故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등 군사독재 시절 수많은 민주화 인사들이 끌려와 강도 높은 고문을 당한 것으로 악명 높은 곳이다.


현재 남영동 대공분실 청사는 ‘박종철 기념전시실(2005년)’ 운영 등 인권수호의 메카로 국민과 소통하는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 중에 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민주화운동 당시 단일사건 최대인 1288명의 학생이 구속 당한 ‘10.28 건대항쟁 자리’ △민주인사 등에게 고문수사를 했던 국군보안사 서빙고분실 ‘빙고호텔 터’ △일제강점기 여성인권을 탄압한 대표적인 기생조합인 ‘한성권번 터’ △미니스커트,장발 단속 등 국가의 통제와 청년들의 자유가 충돌했던 ‘명동파출소’ △부실공사와 안전관리 소홀로 49명의 사상자를 낸 ‘성수대교’ 등 5곳에도 인권현장 바닥동판 설치를 완료했다.


이로써,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인권현장 바닥동판은 총 45개로 확대됐다. 서울시는 근현대 흐름 속에서 벌어졌던 인권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곳에 황동으로 만든 바닥동판을 설치해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인권현장 표석화 사업(인권서울기억)’을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시는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1894년부터 2000년까지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 가운데 시민,전문가 추천,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최종 62곳을 선정 완료했다.


2016년에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안암동 현장, 호주제·동성동본 혼인금지제도 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등 39개소에 바닥동판을 설치했다.


이에 앞서 2015년에는 ‘세계인권선언의 날’(12.10.)을 맞아 서울시청 앞 녹지대에 인권조형물(1개소)과 남산 옛 안기부 자리에 인권현장 안내 표지판(9개소)도 설치했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시민 반응과 전문가 의견을 검토하고 관련 기관과 협의절차를 거쳐 인권현장 바닥동판을 점진적으로 추가 설치해나가겠다”며 “바닥동판 설치는 물론, 인권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탐방할 수 있도록 도보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해 그간 잘 알지 못했던 인권현장에 얽힌 사연과 아프지만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어두운 역사에 대해서도 알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