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귀농 돕는 6개월 교육 프로그램 운영⋯귀농귀촌 종합센터 상담 체험


▲ 귀농귀촌 종합센터 상담 모습. 이른 아침이라 방문자는 없고 전화 상담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노철중 기자]현재 정부는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많은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이제는 귀농귀촌을 원하는 인구도 많아짐에 따라 과밀화된 도심 지역 해소와 특정 부분에 집중된 일자리들을 분산시켜야 할 시기가 온 것이라고 판단이 선 것이다.


2018년 ‘청년귀농 교육농장’ 프로그램 운영


서울 양재동 aT 센터에는 귀농귀촌 종합센터가 자리 잡고 있다. 2014년에 총괄센터 역할을 위해 설립됐다. 처음에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했으나 지금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주관부처는 농림축산식품부다.


센터는 서울에 집중되어있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의 안정적인 농촌지역 정착을 돕고 있다. 전문가 상담을 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정부정책을 소개하고 지자체별 정책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4월부터는 귀농귀촌 청년교육을 위한 ‘청년귀농 교육농장’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약 6개월의 교육과정으로 2021년까지 청년 귀농창업 1만 가구 달성이라는 목표를 위한 세부과제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시범 운영을 통해 올해에도 사업비 등을 정부로부터 확보한 상태로 세부 계획을 수립 중이다.


귀농귀촌 종합센터 상담 프로그램 체험


▲ 김귀영 귀농귀촌종합센터 센터장.

귀농귀촌을 원하는 인구가 밀집된 현실에서 농정원에서 운영하는 귀농귀촌 종합센터가 서울에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수요가 많다 보니 문의도 많이 들어온다. 기자가 직접 상담을 받은 김시준 한국임업진흥원 위원은 현재 전문 상담 요원으로 센터에 파견 근무를 하고 있다.


김 위원에 따르면 연간 상담 건 수는 최소 3000건이다. 김 위원과 같은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여러 명 포진되어 보다 상세하고 깊이 있는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기초부터 물어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김 위원은 “누가 어디서 지원금을 얼마를 받았더라와 같은 소문을 듣고 문의를 해오는 경우가 많다. 상담사들이 전문가들이라서 이렇게 개념을 잘 모르고 문의하시는 분들께도 친절하게 잘 설명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 문의가 들어오면 일반적인 프로세스에 맞춰 상담을 진행하는 게 원칙이다. 1단계 귀농귀촌의 정의부터 설명한다. 이어 정부의 지원 정책과 지원 요건을 설명한다. 다음 단계 에서는 농업경영이나 농사기술을 어디서 배울 수 있는지, 집행기관은 어디인지를 설명한다.


이렇게 상담을 받는 인구를 연령대로 본다는 50~60대가 40% 정도를 차지하고 50대 이하가 50~60%를 차지한다고 김 위원은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은 “상담하기 전에 정확히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시고 전화나 방문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상담 고객들에 조언했다. <끝>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