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대한항공이 방사능 논란에 휩싸여 곤혹을 치르고 있다. 미주노선 운항시간 단축과 항공유 절감을 위해 북극항로 이용계획을 발표하자 노조 측의 거센 반발에 휩싸인 것.

이런 반발은 대한항공을 이용하던 기존 고객들에게까지 반발이 확산 되고 있다.

대한항공 노조측은 “사측이 운항 결정을 내린 노선은 북위 70도를 넘어서는 곳”이라며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일반 루트보다 피폭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국제 원자력법 시행령에 의한 방사선 직업군을 살펴보면 연간 20mSv(밀리시버트)로 제한돼 있다”고 말했다. 일반인의 경우 연간 1mSv가 기준. 이 관계자에 따르면 조종사나 승무원은 법률적으로 일반인의 기준을 따르게 된다. 하지만 항공업 종사자의 경우 일반인 보다 월등히 많은 방사능에 노출된 상태라는 것.

지난해 한양대학교 방사선신기술연구센터에서 나온 기록을 살펴보면 연간 750시간 항공 종사자의 피폭량은 2.96mSv로 나타났다. 노조 관계자는 “피폭량의 경우 고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즉 고도가 높을수록 피폭량도 현저히 증가한 다는 것. 이번에 사측이 발표한 북극 항로 이용 계획 시 항공 종사자와 고객들이 받는 피폭량은 그만큼 증가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고객도 안전치 못하다

노조는 이번 북극항로 취항에 대해 방사능 피폭 위험성을 주장했다. 북극권의 경우 지구 자전에 의한 대기 감소로 우주 방사선 노출량이 적도 지방과 비교해 최대 5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노조는 사측에 북극항로 운항을 개인별로 월·1회로 제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의 신설로 조종사 및 승무원들의 보호도 요구한 상태다.

노조 관계자는 “북극항로 취항 항공기에 방사선 측정 장비를 비치해 운항마다 방사선 양을 측정할 수 있게 회사가 체계적인 관리를 해줘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체계적이고 선진화된 유럽 항공사들은 승무원들의 방사능 피폭 축적량에 대한 기준이 넘으면 의학적 진단을 하거나 비행 스케줄을 조정한다. 방사선 피폭은 20~30년 후에 일정한 질병으로 발병될 가능성이 높아 개별적 모니터링을 통해 조종사와 승무원들을 보호해 주자는 취지다.

노조 관계자는 “이런 모든 기준은 조종사와 승무원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며 “탑승한 고객들 역시 방사능 피폭에서 안전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더 안전하다
노조의 이런 주장에 대해 사측은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는 상태다. 사측은 운항을 계획을 준비 중인 북극항로에 대해 “오히려 더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사측 관계자는 “북극항로는 미국연방항공청(FAA)에서도 운항을 허가한 노선”이라며 “다른 항로와 비교해도 방사능 노출량 차이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노조가 주장하는 방사능 과다 노출 부분에 대해 “오히려 노출량이 더욱 줄어들어 안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존 미주 노선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 운항시간으로 오히려 방사능 노출량이 감소 한다는 것.

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도 대한항공과 입장이 같았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북극항로 방사능 노출을 검사한 검사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미주 항공 노선과 방사능 노출량은 같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항공법 규정상 4만9천피트 이상 초고도 비행의 경우 방사능 노출에 문제가 되지만 민항기의 경우 4만피트 이하 고도 비행이기 때문에 (방사능 노출)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 모든 사안에 대해 대한항공 관계자는 “당초 예정대로 북극항로는 취항은 진행되고 있다”며 “이번 문제는 노조측과 협의해 3/4분기 노사안건으로 처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뜻하지 않은 피폭논란에 모 그룹 오너 일가의 지분 분쟁까지 겹친 대한항공이 사분오열의 분위기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